성장금융, 1600억 기술혁신전문펀드로 R&D 활동 지원군으로 등장

경제|2020. 4. 25. 03:22
728x90
반응형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은 중소중견기업의 R&D 활동을 지원하는 1차년도 기술혁신전문펀드(TIF) 위탁운용사 선정에 착수한다.

 

TIF는 지난 3월에 유관기관들과 조성 및 운용협약을 체결하고 펀드 출범을 알렸다.

 

성장금융은 오는 521일까지 제안서를 받고 심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3개 운용사를 선정하고 각각 300억 원씩 출자해 최소 1605억 원의 규모로 오는 11월까지 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

 

펀드 총액의 60% 이상은 제조업 기반 중소중견 기업의 R&D 용도에 투자해야 하고, 인공지능, 5G, 에너지 등 제조업 연관 미래 및 에너지 신산업도 투자처다.

 

펀드 만기기간은 8년이고 투자기간은 4년 이내다. 운용사(GP)의 의무 출자비율은 약정총액의 1% 이사으로 목표 순내부수익률(IRR)6%.

 

한국성장금융은 이번 펀드는 최초로 기업의 R&D 활동에 중점적으로 투자되도록 한 만큼 해당 방안의 구체성, 현실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운용사 선정 심사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은 중소중견기업의 R&D 활동을 지원하는 1차년도 기술혁신전문펀드(TIF) 위탁운용사 선정에 착수한다.

 

TIF는 지난 3월에 유관기관들과 조성 및 운용협약을 체결하고 펀드 출범을 알렸다.

 

성장금융은 오는 521일까지 제안서를 받고 심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3개 운용사를 선정하고 각각 300억 원씩 출자해 최소 1605억 원의 규모로 오는 11월까지 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

 

펀드 총액의 60% 이상은 제조업 기반 중소중견 기업의 R&D 용도에 투자해야 하고, 인공지능, 5G, 에너지 등 제조업 연관 미래 및 에너지 신산업도 투자처다.

 

펀드 만기기간은 8년이고 투자기간은 4년 이내다. 운용사(GP)의 의무 출자비율은 약정총액의 1% 이사으로 목표 순내부수익률(IRR)6%.

 

한국성장금융은 이번 펀드는 최초로 기업의 R&D 활동에 중점적으로 투자되도록 한 만큼 해당 방안의 구체성, 현실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운용사 선정 심사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