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희토류 채굴 할당량 20% 확대 조정

국제|2021. 10. 6. 16:58
728x90
반응형

희토류

중국 당국이 중국 제조업체의 희토류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희토류 채굴 할당량을 20%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인터넷 신문은 왕이신문은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자연자원부가 희토루 채굴 관련 통지문에서 채굴 할당량을 16만 8000톤, 제련 분리 할당량을 16만 2000톤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4만 톤 대비 20% 증가한 사상 최대 수치이며 제련 분리 할당량 역시 2020년 13만 5000톤 대비 20% 확대한 수치다.

 

중국은 경희도(Light Rare Earth)와 중희토(Heavy Rare Earth)로 구분해 1년에 2회 할당량을 발표한다.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경희토는 네이멍구, 산둥, 쓰촨 등 북부 지역에 주로 매장되어 있고 군사 장비에 사용되는 중희토는 남부 지역에 매장되어 있다.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60%를 담당하고 있지만, 중국이 희토류 할당량을 증가시킨 것에는 미얀마 쿠데타 사태가 장기화 된 것이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미얀마는 중국 중희토 수요의 절반을 담당했지만 쿠데타 이후 국경이 폐쇄되면서 미얀마산 중희토가 수입되지 못하면서 중국 기업들이 희토류를 공급받지 못해 내수로는 물량을 충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영국 에너지 컨설팅 기업 우드 매킨지의 데이비드 매리맨 애널리스트는 “네오디뮴 영구자석(NdFeB) 제조업의 수요 증가를 고려할 때 할당량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반응형

댓글()

2021년 중국 2차전지 시장 ‘화이트리스트 폐지’에 외국계 기업 재진입 예고

국제|2021. 3. 13. 00:15
728x90
반응형

중국 정부의 배터리 제조사 화이트리스트 폐지에 힘입어, 2차전지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중국 2차전지 기업들의 해외진출 전략 / 사진=KOTRA

폐지된 화이트리스트, ‘중국 내 경쟁 심화

 

중국 정부는 2015년 제정한 자동차 축전지 업계 규범 조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분야 기업은 일정조건에 부합해야만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고 해당 기업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취했다.

 

화이트리스트에는 중국 배터리 산업 발전을 위해 외국계 배터리 기업을 배제하고 자국 배터리 기업을 명단을 주로 포함시켜, 보호무역주의를 선보였던 셈이다.

 

201966월에 발표한 자동차 축전지 업계규법조건(汽车动力蓄电池行业规范条件)’에서는 화이트리스트 제도가 폐지되면서 외국 배터리 제조사의 시장 진입이 용인됐다.

 

LG화학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 3사는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난징, 시안, 장쑤 등에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준공했다.

 

LG 화학은 중국 상하이공장 테슬라 Model 3에 공급하면서 최근 중국에서 생산되는 Model Y의 배터리 공급기업으로 선정되면서 점유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2차전지 시장 SWOT 분석 / 사진=KOTRA

 

배터리만 유망한가? 공급체인도 있다

 

2차전지 경쟁이 심화되면서 2차전지 관련 소부장도 유망해질 것으로 보인다.

 

KOTRA에 따르면, 완성형 배터리 생산기업 뿐 아니라 소재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기업들이 존재해 중국 시장으로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재의 경우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동박 등에서 국내 기술선도 기업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납품하는 중소형 기업도 동반 진출이 가능하다.

 

중국 CATL 등 완성형 배터리 기업들의 가치사슬(Value Chain)에 편입돼 소재부품장비 등을 납품하는 모델도 중국시장 개척의 주요 모델이 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 외에도 스마트폰을 비롯해 모바일 IoT기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도 차후에 공략가능한 시장이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

중국 2차전지 시장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가 주력’

국제|2021. 3. 12. 13:06
728x90
반응형

 

전세계가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노력함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전기자동차의 동려원인 2차전지 또한 유망 산업분야로 주목받는 가운데, 중국 내 주력 2차전지로는 주로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전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차전지는 전기자동차, 모바일 IoT 기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에너지 산업의 핵심 동력원이며, ‘납산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등으로 분류된다.

 

KOTRA에 따르면, 중국은 주로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가 2차전지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납산축전지지 생산국이면서, 소비국이며 수출국이다.

 

특히, 지속적인 기술 도입과 해외 각국의 투자로 중국 납축전지 주요 제품은 글로벌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납산축전지는 높은 안전 신뢰성과 낮은 비용으로 자동차와 산업용 이륜차, 대형 에너지 저장 등 분야에서 광범위게 안정적인 수요가 나오고 있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납축전지 생산량은 세계 비중에서 약 45%1위를 기록했으며 뒤이어 미국(32%), 일본(13%) 순으로 생산하고 있다.

 

또한, 환경 규제 강화 및 리튬 이온 전지 양산화로 중국 리튬이온전지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10~2019년 사이 중국 리튬이온 전지 산업규모는 연평균 14%의 증가율을 기록하는 중이며, 2019년 기준 중국 리튬이온전지 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1750억 위안(한화 약 305235억 원)에 달했다.

 

반응형

댓글()

중국 우시시에 글로벌 테크 센터 건립하는 LG화학 '아시아 3각 고객센터 구축‘ 시동

국제|2021. 2. 13. 00:45
728x90
반응형

화동 테크센터 조감도 /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글로벌 현지 고객을 위한 고객 지원 전문 조직을 확대한다.

 

LG화학은 장쑤성(江蘇省) 우시시(無錫市)와 투자협약(MoU)을 체결하고 3번째 테크센터인 화동(華東) 테크센터를 우시시 까오신구(高新區)에 지을 예정이다.

 

우시시는 중국 10대 경제 활력 도시로 선정됐으며, 글로벌 500대 기업 중 80개 기업의 생신기지가 위치해 있다. LG화학의 양극재 생산공장도 까오신구에 위치해 있다.

 

화동 테크센터는 2021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가 20225월에 운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상 3, 연면적 약 1규모로 양산설비와 동등한 규모의 파일럿 설비가 내부에 들어설 계획이다.

 

가공 및 첨단 분석 설비에 90억 원을 투입하고 현지 채용을 포함한 소속 연구인력의 절반을 석사 이상 인력으로 구성해 중견기업 연구소 이상의 설비와 전문인력을 갖출 방침이다.

 

화동 테크센터가 설립되면 2015년에 광둥성(广东省) 광저우시(广州市)에 설립된 화남(華南) 테크센터와 더불어 중국 전역을 담당할 수 있다.

 

LG화학은 1995년에 대전 기술연구원에 최초로 테크센터를 건설했고 2019년에는 경기도 오산에 테크센터를 신축했다.

 

LG화학은 향후 석유화학 및 관련 사업 영역 확대에 따라 글로벌 고객 대응을 위한 미주, 유럽 지역으로 글로벌 테크센터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테크센터는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사와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품 개발에서부터 품질 개선, 생산성 향상, 설비 개조에 이르기까지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LG화학만의 차별화된 TS&D(Technical Service & Development) 전문 조직이다. 고객의 소리(VOC)에 귀 기울이고 고객이 제기하는 페인포인트를 기반으로 문제점 및 성능 등이 개선된 제품을 ()’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화동 테크센터는 중국 현지에 최적화된 맞춤형 지원을 통해 고객 대응력을 강화하고 LG화학의 기술 차별화 제품으로 중국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고객의 페인포인트(Pain Point)에서 시작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인사이트(insight)를 제공하는 기술지원 전문 조직인 테크센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중국 잡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8개 중구 앱에 퇴출 행정명령

국제|2021. 1. 6. 20:30
728x90
반응형

 

 

퇴임까지 15일 남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한 조치를 여전히 지속 중이다.

 

로이터,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기업이 서비스하는 8개 애플리케이션들과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8개 제재 대상은 알리페이, QQ월릿, 텐센트QQ< 위챗페이, 캠스캐너 쉐어잇, 브이메이트, WPS오피스 등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상용 애플리케이션들이다.

 

행정 명령에 따라 상무부는 이번 제재를 45일 이내에 집행해야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퇴임일이 다가오는 만큼 오는 20일 전에는 상무부에서 조치가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반면 블룸버그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이후 시행 여부가 결정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의 사유를 중국 기술기업들의 국가안보 위협을 지목했다.

 

중국 애플리케이션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개인 전자기기에 접근해 개인 정보와 사생활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장악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는 틱톡과 위챗과의 거리를 금지한 20208월의 행정명령과도 유사하지만, 당시의 조치는 미국 법원에서 제동이 걸렸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에도 상무부의 조치가 미국 법원의 소송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작년의 조치가 시행된다면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중국 애플리케이션이 퇴출 됐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 상무부 윌버 로스 장관은 중국 공산당의 위협으로부터 미국인의 사생활과 안보를 지킨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확고한 노력을 지지한다고 별도 성명을 통해 밝혔다.

 

한편, 이번 조치에 따라 미국 정부와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긴장 수위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광범위한 중국 제품에 고율관세를 물린 데 이어 중국 기술기업들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각종 규제를 가하는 중이다.

 

미 상무부는 지난 12월에는 첨단기술 발전의 토대인 중국 최대의 반도체업체 SMIC, 세계적 드론 제조업체 SZ DJI 등 중국 기업 수십곳을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금지되는 수출규제 명단(entity list)에 올린 바 있다.

반응형

댓글()

중국 전기차에 시장에 뜨는 '애국소비'

국제|2021. 1. 3. 01:07
728x90
반응형

미니 EV 내부사진 / 사진=상하이GM우링 제공

 

 

테슬라가 선점하고 있던 중국 전기차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중국 국산 전기차들이 테슬라가 주춤하는 틈을 타서 시장을 개척하고 있어, 테슬라의 미래 성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201911월 전기차 판매 1위는 상하이GM우링의 훙광미니28246대가 판매됐다. 테슬라의 모델321604대가 팔려 2위를 기록했다.

 

훙광미니는 미국 빅3 중 하나인 제너럴모터스(GM)가 상하이자동차, 우링차의 합자회사인 상하이GM우링이 20197월에 내놓은 소형 전기차로, 1회 충전거리 260km, 판매가 28800위안(한화 약 480만 원)의 경차다.

 

20208월에 출시된 후 15000대가 팔리면서 모델3의 판매대수(11811)를 제치고 판매량 선두에 올라 4개월 동안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중국 전기차 시장 11월 판매량을 살펴보면, 훙광미니와 창청차의 헤이미오, 치루이차의 eQ, 상하이GM우링의 바오준E100 등 경차급이 4종 포함됐고, 이는 2019년 전기차 팬마 10위 내에 경차급이 2종 밖에 없던 것을 고려하면, 경차의 비중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프리미엄 전기차 부문에서도 중국 전기차들이 선전 중이다.

 

‘4대 신세력으로 불리는 리샹(리오토), 웨이라이(NIO), 샤오펑, 웨이마는 201911월 판매량 합계는 17605대로, 반년 전인 5월 판매량 8151대에 비해 2배 이상 판매량이 증가했다.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리샹은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ONE'만으로 11464, 연간 누적 26498대의 판매 실적을 올렸다.

 

ONE의 기본형 가격이 328000위안(한화 약 5484만 원)으로, 30만 위안(한화 약 5000만 원) 이하 전기차에 주어지는 보조금 혜택을 포기했음에도 판매량이 증가해 애국 소비가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테슬라가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을 노린 모델Y’를 당국의 허가가 나오는 대로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지만, 이미 시장을 선점한 토종 기업들의 존재로 부진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 중이다.

반응형

댓글()

베이징 유이병원-라싸 인민병원 5G 네트워크로 원격 진료 시행

국제|2020. 12. 22. 16:24
728x90
반응형

 

5G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진료가 진행되고 있다 / 사진=베이징 유이병원 웨이보

 

티베트에서 5G 네트워크를 사용한 원격 진료가 이루어졌다.

 

중국 수도의과대학(首都医科大学) 부속 베이징 유이병원(北京友谊医院)은 지난 11일 라싸시 인민병원(拉萨市人民医院)의 의사 10여 명으로 구성된 의료팀과 5G 네트워크를 사용해 중증 췌장염 환자에 대한 원격 진료를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5G 원격 진료는 기존 통신방식과 비교해 화면 해상도가 높고, 필요한 자료 전송 속도가 훨씬 빠른 데다, 이미지 재생상태도 훨씬 원활했다고 밝혔다.

 

라싸시 인민병원은 지난 5월 차이나유니콤 티베트 지사와 5G 지능화 의료 연합 실험실 설립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의료 분야에서 5G 활용을 적극 추진하기 위한 이 제휴는 5G 데이터 전송 그실울 핵심으로 하는 스마트 의료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내용이 골자로 담겨 있다.

 

라싸시 5G 의료 서비스 시범 사업은 5G 원격 진료, 원격 수술, 중환자 원격 모니터링, 원격 의학 교육 등의 5G 네트워크 활용 사업이 포함됐다.

 

라싸시 인민병원은 차후에도 베이징 유이병원을 통해 베이징시 우수 병원과 연결하고 차이나텔레콤 등 협력 파트너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5G 원격 진단·원격 치료·병원 관리 등 5G 네트워크 사용 환경을 확대해 티베트의 환자 서비스, 병원 의료 관리 수준을 높일 계획이다.

 

라싸시 런이(任轶) 인민병원장은 베이징 유이병원과 처음으로 5G 원격 진료를 진행한 것은 우리 병원이 5G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5G+의료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실현한다는 의미라며 베이징의 우수한 의료 자원을 라싸 시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서비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바이두, 자율주행에 이어 전기차까지 넘보나?

국제|2020. 12. 22. 14:24
728x90
반응형

바이두 / 사진=웨이보

중국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바이두가 전기자동차 시장에 뛰어들 것이란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두가 전기자동차를 직접 생산하는 것을 검토 중이며, 제조업체들과 협의를 거쳤다고 보도했다.

 

바이두의 전기차 생산 방식을 아웃소싱 또는 제조기업과의 합자회사 설립 방식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인용을 통해 지리자동차(吉利汽车) 모기업 저장지리홀딩스(浙江吉利控股), 광저우자동차(广汽集团), 이치자동차(一汽集团) 등 자동차 제조업체와 합자기업 설립에 대한 기초적인 협상을 벌였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보도에 대해 바이두와 이치자동차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광저우자동차는 바이두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밝히고 추가 협력은 논의 중이라고 답신했다.

 

저장지리홀딩스는 해당 사항에 대해 전혀 모르는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로보택시 / 사진=바이두 아폴로 제공

현재 바이두는 자사의 IT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 영역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텐센트, 아마존, 알파벳(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기술에 투자하거나 관련 기업들과 협업하는 중이다.

 

바이두는 지난 2017년 자회사 바이두 아폴로를 설립했고, 지리자동차, 폭습가ᅟᅦᆫ, 도요타, 포드 등 자동차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맺어왔다.

 

베이징, 창사, 창저우 등 대도시에서는 운전자가 동승한 자율주행 택시인 로보택시를 운행 중이며 3년 이내에 30개 도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