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중국 2차전지 시장 ‘화이트리스트 폐지’에 외국계 기업 재진입 예고

국제|2021. 3. 13. 00:15
728x90
반응형

중국 정부의 배터리 제조사 화이트리스트 폐지에 힘입어, 2차전지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중국 2차전지 기업들의 해외진출 전략 / 사진=KOTRA

폐지된 화이트리스트, ‘중국 내 경쟁 심화

 

중국 정부는 2015년 제정한 자동차 축전지 업계 규범 조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분야 기업은 일정조건에 부합해야만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고 해당 기업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취했다.

 

화이트리스트에는 중국 배터리 산업 발전을 위해 외국계 배터리 기업을 배제하고 자국 배터리 기업을 명단을 주로 포함시켜, 보호무역주의를 선보였던 셈이다.

 

201966월에 발표한 자동차 축전지 업계규법조건(汽车动力蓄电池行业规范条件)’에서는 화이트리스트 제도가 폐지되면서 외국 배터리 제조사의 시장 진입이 용인됐다.

 

LG화학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 3사는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난징, 시안, 장쑤 등에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준공했다.

 

LG 화학은 중국 상하이공장 테슬라 Model 3에 공급하면서 최근 중국에서 생산되는 Model Y의 배터리 공급기업으로 선정되면서 점유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중국 2차전지 시장 SWOT 분석 / 사진=KOTRA

 

배터리만 유망한가? 공급체인도 있다

 

2차전지 경쟁이 심화되면서 2차전지 관련 소부장도 유망해질 것으로 보인다.

 

KOTRA에 따르면, 완성형 배터리 생산기업 뿐 아니라 소재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기업들이 존재해 중국 시장으로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재의 경우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동박 등에서 국내 기술선도 기업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납품하는 중소형 기업도 동반 진출이 가능하다.

 

중국 CATL 등 완성형 배터리 기업들의 가치사슬(Value Chain)에 편입돼 소재부품장비 등을 납품하는 모델도 중국시장 개척의 주요 모델이 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 외에도 스마트폰을 비롯해 모바일 IoT기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도 차후에 공략가능한 시장이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

1조 2000억 ESG 채권 발행하는 LG화학 ‘역대 최대 규모 회사채’

경제|2021. 2. 20. 00:28
728x90
반응형

LG화학

 

LG화학이 ESG 채권 8200억 원, 일반 회사채 3800억 원을 포함한 총 12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일반기업이 발행하는 ESG 채권은 물론, 회사채 총발행 규모에서도 역대 최대 규모다.

 

ESG 채권 최대 기록은 현대제철이 20211월에 기록한 5000억 원, 회사채 최대 기록은 20202SK하이닉스가 기록한 1600억 원 이었다.

 

LG화학의 8000억 원 규모의 ESG 채권 발언은 ESG 경영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회사채에 대한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역대 2번째 규모인 25600억 원의 자금이 몰린 것을 확인한 LG화학은 당초 계획인 6000억 원에서 2배 증액한 12000억 원의 회사채 발행을 결정했다.

 

LG화학은 20193월 수요예측에서 26400억 원의 자금이 몰린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회사채는 그린본드(Green Bond)와 소셜 본드(Social Bond)가 결합된 지속가능본드(Sustainablilty Bond)로 발행될 예정이다.

 

사회적 책임 투자를 목적으로 발행되는 ESG 채권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한다.

 

LG화학은 ESG 채권으로 조달된 8200억 원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 투자, 친환경 원료 사용 생산 공정 건설, 양극재 등 전기차 배터리 소재 증설, 소아마비 백신 품질관리 설비 증설, 산업재해 예방 시설 개선 및 교체, 중소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한 금융지원 등에 사용할 방침이다.

 

LG화학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최우선 경영과제로 삼고 재활용 플라스틱, 생분해성 수지, 바이오디젤 기반 친환경 수지, 차세대 소아마비 백신 공급 등 환경과 사회에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모델 발굴 등 ESG 경영을 가속화하고 있다.

 

LG화학 CFO 차동석 부사장은 이번 ESG 채권의 성공적인 발행은 배터리 사업 분사 이후에도 석유화학, 첨단소재, 생명과학 등 당사의 지속 가능한 사업구조와 미래 성장성을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라며, “올해는 전 사업부문에서 ESG 경영 가속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해 나가며 지속가능(Sustainability) 분야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중국 우시시에 글로벌 테크 센터 건립하는 LG화학 '아시아 3각 고객센터 구축‘ 시동

국제|2021. 2. 13. 00:45
728x90
반응형

화동 테크센터 조감도 /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글로벌 현지 고객을 위한 고객 지원 전문 조직을 확대한다.

 

LG화학은 장쑤성(江蘇省) 우시시(無錫市)와 투자협약(MoU)을 체결하고 3번째 테크센터인 화동(華東) 테크센터를 우시시 까오신구(高新區)에 지을 예정이다.

 

우시시는 중국 10대 경제 활력 도시로 선정됐으며, 글로벌 500대 기업 중 80개 기업의 생신기지가 위치해 있다. LG화학의 양극재 생산공장도 까오신구에 위치해 있다.

 

화동 테크센터는 2021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가 20225월에 운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상 3, 연면적 약 1규모로 양산설비와 동등한 규모의 파일럿 설비가 내부에 들어설 계획이다.

 

가공 및 첨단 분석 설비에 90억 원을 투입하고 현지 채용을 포함한 소속 연구인력의 절반을 석사 이상 인력으로 구성해 중견기업 연구소 이상의 설비와 전문인력을 갖출 방침이다.

 

화동 테크센터가 설립되면 2015년에 광둥성(广东省) 광저우시(广州市)에 설립된 화남(華南) 테크센터와 더불어 중국 전역을 담당할 수 있다.

 

LG화학은 1995년에 대전 기술연구원에 최초로 테크센터를 건설했고 2019년에는 경기도 오산에 테크센터를 신축했다.

 

LG화학은 향후 석유화학 및 관련 사업 영역 확대에 따라 글로벌 고객 대응을 위한 미주, 유럽 지역으로 글로벌 테크센터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테크센터는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사와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품 개발에서부터 품질 개선, 생산성 향상, 설비 개조에 이르기까지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LG화학만의 차별화된 TS&D(Technical Service & Development) 전문 조직이다. 고객의 소리(VOC)에 귀 기울이고 고객이 제기하는 페인포인트를 기반으로 문제점 및 성능 등이 개선된 제품을 ()’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화동 테크센터는 중국 현지에 최적화된 맞춤형 지원을 통해 고객 대응력을 강화하고 LG화학의 기술 차별화 제품으로 중국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고객의 페인포인트(Pain Point)에서 시작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인사이트(insight)를 제공하는 기술지원 전문 조직인 테크센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LG화학, 화석연료 대체할 재생에너지 도입한다

산업|2020. 11. 6. 14:19
728x90
반응형

여수에 위치한 LG화학 석유화학단지 /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재생에너지를 도입한다.

 

지난 5LG화학은 핀란드의 재생에너지 기업인 네스테(Nest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전세계 바이어포리머 및 바이오케미칼 제품시장 성장을 위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는 LG화학이 합성수지 및 화학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화석 공급연료를 네스테에서 생산하는 재생 탄화수소(Hydrocarbons)으로 대체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한, 바이오 원료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아시아, 유럽 및 글로벌 시장 정보를 공유하고 신용도 제품 개발에도 적극 협력키로 했다.

 

LG화학은 제품의 품질과 성능, 재활용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포리올레핀 기반의 용기포장위생 제품전자재료 등에서 탄소배출 저감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 원료 기반의 폴리올레핀(PO), 고흡수성수지(SAP), 고부가합성수지(ARS), 포리카보네이트(PC), 포리염화비닐(PVC)을 생산할 계획으로 2021년 하반기 내 실질적 제품 생산을 목표로 잡고 있다.

 

탄소배출 저감을 통해 LG화학은 지속가능성 전략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국내 화학기업 최초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50 탄소 중립 성장을 선언했고 PCR ARS 및 생분해성 신소재 등을 자체 개발하며 자원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화석 원료를 바이오 원료로 대체할 시 동일한 투입량 기준 기존 제품 대비 온실가스를 약 50% 가량 저감할 수 있어 향후 바이오 원료를 적용하는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 원료로 생산하는 친환경 수지에 대한 ISCC 인증도 추진할 계획이다.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250여개의 친환경 원료 제조사, NGO 및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국제 인증 기관으로 바이오 원료 구매 및 투입량을 기준으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정해 생산된 최종 제품에 인증을 부여한다.

 

LG화학은 내년 상반기 내 ISCC 바이오 인증 획득을 목표로 잡고 탄소는 줄이고 물성은 기존과 동일한 친환경 합성수지로 관련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네스테의 메르세데스 알론소(Mercedes Alonso) 재생가능한 폴리머 및 화학제품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네스테의 재생가능한 드롭인(drop-in) 솔루션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면서 "LG화학과의 협력은 글로벌 산업이 순환형 바이오 경제로 전환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네스테의 메르세데스 알론소(Mercedes Alonso) 재생가능한 폴리머 및 화학제품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네스테의 재생가능한 드롭인(drop-in) 솔루션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면서 "LG화학과의 협력은 글로벌 산업이 순환형 바이오 경제로 전환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의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국내 대표 화학기업인 LG화학의 기술력과 세계 최대 바이오 디젤 기업인 네스테의 지속가능성이 결합해 양사 모두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LG화학은 ‘2050 탄소중립 성장달성을 위해 바이오 원료 및 친환경 소재 기반의 자원 선순환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주총 3일 앞두고 LG화학 물적 분할 반대 입장 밝힌 국민연금

산업|2020. 10. 28. 06:07
728x90
반응형

국민연금

 

 

국민연금이 LG화학의 배터리사업부 물적분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위원회를 개최하고 LG화학의 분할계획서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정했다.

 

이는 오는 30일 오전9시 서울 LG트윈타워에서 열릴 예정인 LG화학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을 3일 앞두고 내려진 결정이다.

 

현재 LG화학의 지분 10%대를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은 반기보고서 기준 33.34$%의 지분을 보유한 LG에 이어 LG화학의 2대 주주다. 유한 LG에 이어 LG화학의 2대 주주이다.

 

LG화학

 

외국인 지분율이 36%대이고 국내 기관투자자 지분율은 12~13% 수준이며, 개인투자자 지분율이 10% 안팎인 것을 볼 때 물적분할이라는 특별결의 사안에서 주주총회 출석 주주 의결견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수(지분)3분의 1 이상이 동의해야 진행이 가능하다.

 

10%대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이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LG화학의 물적분할은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주주총회를 3일 앞두고 28, 29일 동안 LG화학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칠 만한 요소다.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가 핵심인 전지사업부문을 분사한다는 발표를 하면서 추진되고 있는 배터리사업부 분할에 대해서는, 일부 개인투자자들의 경우 주주 가치 훼손을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는 "분할 계획 취지 및 목적에 공감한다"면서도 "지분 가치 희석 가능성 등 국민연금 주주 가치 훼손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생분해성 바이오 신소재 개발한 LG화학, 2025년까지 양산 예고

산업|2020. 10. 23. 00:27
728x90
반응형

LG화학 생분해성 신소재 및 시제품 /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생분해성 바이오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LG화학이 독자기술과 제조공법을 통해 기존 생분해성 소재의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개선한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과 바이오 디젤 생산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페글리세롤을 활용한 바이오 함량 100%의 생분해성 신소재는 폴리프로밀렌 등의 합성수지와 동등한 기계적 물성과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 생분해성 소재의 경우 물성 및 유연성 강화를 위해 다른 플라스틱 소재나 첨가제를 섞어야 했지만, LG화학은 단일 소재로 품질과 용도별 물성을 갖출 수 있다.

 

핵심 요소는 유연성의 경우 기존 생분해성 제품 대비 최대 20배 이상 개선되어 가공 후에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LG화학은 밝혔다.

 

기존 생분해성 수지의 경우 혼합 소재의 특성상 불투명한 포장재 제품 등으로 활용되어 으나, LG화학의 신소재를 사용해 생분해성 소재가 주로 쓰이는 친환경 포장재 업계로도 사용처 확대가 기대된다.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일회용품 사용 규제가 강화되면서 생분해성 소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비닐봉투, 에어캡 완충재 등 분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LG화학은 신소재 시장의 연간 규모를 10조 원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현재 시장조사 업체들은 201942000억 원 규모에서 202597000억 원까지 연평균 약 15%의 성장률을 예쌍하고 있다.

 

독일의 생분해성 소재 국제인증기관인 ‘DIN CERTCO’로부터 신규 개발한 생분해성 소재가 유럽의 산업 생분해성 인증 기준에 따라 120일 이내 90% 이상 생분해되는 결과도 확인받았다.

 

LG화학은 확보된 신기술을 바탕으로 생분해성 소재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는 한편 사업 확대를 위한 바이오 원료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022년에 고객사를 대상으로 시제품 평가 등을 진행하고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화학 CTO 노기수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100%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독자 기술로 생분해성 원천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친환경 소재 분야에 연구개발을 집중해 자원 선순환 및 생태계 보호에 앞장서는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인도네시아 13조 국영 EV 합작사업에 LG화학이 뛰어들었다

산업|2020. 10. 20. 23:15
728x90
반응형

LG화학 난징 배터리 공장 /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CATL과 함께 인도네시아 국영 EV 제조 사업에 참여한다.

 

자카르타 글로브(Jakarta Globe)는 한국 LG화학과 중국 CATL 2개 기업이 인도네시아의 전기자동차(EV) 전지 제조공장 합작투자 사업에 참여한다고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국영광물회사 MIND ID(Mining Industry Indonesia), 니켈광산 ANTAM(Aneka Tambang), 국영전력 PLN(Perusahan Listrik Negara)과 국영석유 페르타미나(Pertamina) 등이다.

 

설립 예정인 기업은 인도네시아 배터리(Indonesia Baterai)’로서 인도네시아 국영광산의 지주사인 아사한 알루미늄(Asahan Alumunium)에서 설립하는 합작투자회사다.

 

화학제품과 광물을 비롯해 배터리 전지 제품과 중고 배터리 재활용 사업 등 다각화된 사업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원료인 니켈 전 세계 매장량의 30%로 이를 무기로 EV 배터리 제조사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MIND ID는 원료공급을, PLN이 제품유통을 담당하고 페르타미나는 제조 과정의 일부를 맡게 된다.

 

LG화학은 니켈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

 

오리아스 페트루스 모이닥 MIND ID의 대표는 “LG화학과 CATL과 인도네시아 배터리 컨소시엄을 위한 2개의 프로젝트가 이미 계획돼 있다. 2개의 프로젝트에 총 120억 달러(137520억 원)가 투입된다고 밝혔다.

 

오리아스 대표는 공장의 건설기간을 2~3, 건설 후보지로는 술라웨시주, 말루쿠주 할마헤라, 파푸아주 등을 꼽았다.

반응형

댓글()

산자부 규제특례 승인… 사용후 배터리 활용 사업 나온다

정부시책|2020. 10. 20. 08:47
728x90
반응형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지난 1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4차 산업융항 규제특례심의위원회에서 각 기업이 신청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사업’ 3건을 포함해 총 10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실종특례 9, 임시허가 1건으로 진행된 이번 허가에 따라 현대자동차, 그리고 현대글로비스-LG화학KST 모빌리티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나선다.

 

실증 특례란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일정 조건에서 기존 규제를 면제해주고 안전성 등을 시험·검증하는 제도다. 이에 따라 올해 누적 45건의 신제품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될 전망이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3년까지 8만 개의 사용후 배터리 물량이 나올 것이 예상되면서 이를 재활용한 사업모델을 창출하고 환경문제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사용 후 배터리를 태양광발전설비와 연계한 전력저장장치(ESS) 컨테이너 실증을 계획하고 있다.

 

사용후 배터리를 재가공한뒤 결합해 더 큰 용량의 ESS로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ESS 컨테이너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월 한화큐셀과 태양광 연계 ESS 공동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전기차에서 회수한 배터리를 재활용해 ESS를 개발하는 것에 협력한다.

 

가정용 ESS 제품을 전기차 재사용 배터리를 기반으로 제작하고, 현대자동차 그룹의 자동차 보유 고객과 한화큐셀을 비롯한 한화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고객 및 인프라를 활용해 대규모 ESS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것이 목표로 자동차 배터리를 가정용 ESS로 활용해 전력을 재판매하는 사업 모델까지 포함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LG화학KST모빌리티는 전기 택시 배터리 렌탈 사업을 신청해 실증특례 인증을 받았다.

 

현대글로비스가 보유한 배터리를 전기 택시회사인 KST모빌리티에 렌탈해주고, 23년 뒤 나오는 사용후 배터리는 LG화학이 전기차 급속 충전용 전력저장장치(ESS)로 제작하는 사업이다.

 

전기 택시는 일반 차량보다 주행거리가 길어 23년 내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데, 택시회사는 전기차 보조금을 받는 것은 물론, 배터리 가격을 제외한 값에 택시를 싸게 살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해 초반에 많은 택시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

 

굿바이카는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사용후 배터리를 사들여 작은 용량으로 분해해 캠핑용 파워뱅크(휴대용 배터리)로 활용하는 사업을 시범 실행할 예정으로 현재 전국 지자체에는 사용후 배터리 200여개가 보관 중이며,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29년까지 8만여개가 배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차는 보조금을 지원받기에 폐차 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를 지자체에 반납하게 돼 있지만 반납된 배터리는 재사용 가치나 성능·안전성 기준이 마련돼있지 않아 쌓여있는 상황이다.

 

현재 전기차는 폐차시 배터리를 지자체에 반납하게 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재사용 가치, 성능·안전성 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부와 국가기술표준원은 사용후 배터리의 가치나 성능, 안전성 기준 등을 마련할 계획이며, 신청기업들은 2년의 실증기간 수집한 정보를 정부와 공유할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