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라오스, 바나나 수출가치 76% 상승, 사유는 농업 청부제
라오스 산업부에 따르면, 라오스가 2019년 생산한 바나나의 수출 가치가 1억 8800만 달러로 76% 상승 했다.
라오스는 바나나, 카사바(Cassava), 로우 커피(Raw Coffee), 고무, 옥수수, 쌀 등 농산품을 수출하고 가장 높은 수출 가치를 가진 것이 바나나다.
라오스는 2018년에 중국과 태국을 중심으로 바나나를 수출해 1억 1200만 달러(한화 약 1370억 8800만 원)를 수출했고 2019년에는 1억 8800만 달러(한화 약 2301억 1200만 원)을 벌어들였다.
라오스는 2016년과 2017년 사이에 2만 6177헥타르(Hectares)의 농지에 117개 기업이 바나나 생산을 위해 투자했지만 정부가 상업용 바나나 생산을 중지시킨 이후 90개 기업 2만 408 헥타르로 재배면적이 줄었다.
이후 2018년 중국이 라오스 바나나에 대해 검사 조치를 시행해 무역이 주춤했고, 농산품에 대한 수출 기준이 정립됐다. 이후 바나나 재배 구조가 재정되면서 다시 바나나 호황이 시작됐다.
신화통신은 라오스 바나나 생산의 약진을 라오스가 도입한 농업 청부제(Contract Farming System)에 의한 것으로 분석했다.
농업 청부제는 농민이 국가로부터 토지를 임대해 일정 생산량을 국가에 상납한 뒤 나머지는 개인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주의에 도입된 자본주의 제도다.
라오스 정부는 “바나나를 일자리 창출과 빈곤 퇴치를 위해 지역주민들에게 최고의 상품이다.”라고 평가했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출도 50% 하락하는 베트남 새우, 양식업자들 울상 (0) | 2020.04.01 |
---|---|
암울한 1분기 베트남 산업, 2분기에는 반등 기대 (0) | 2020.03.31 |
조세영 차관 “방역정책의 핵심은 집중적 진단검사와 추적 노력 ” (0) | 2020.03.30 |
김건 차관보,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에 중국 입국 제한 조치 ‘유감’ 표명 (0) | 2020.03.30 |
인니 레트노 외교장관, 한국에 방역경험과 방역물품 지원 요청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