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바이오택의 대장암 신약, 항암물질 유럽 특허 취득했다.

산업|2021. 4. 3. 05:52
728x90
반응형

셀바이오텍

셀바이오텍(대표이사 정명준)이 대장암 신약이 유럽 특허를 취득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 셀바이오텍의 대장암 치료제 신약 ‘PP-P8'이 유럽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한국 특허(KR10-1910808)과 일본 특허(JP6586248)을 취득했던 PP-P8이 유럽 특허(EP3453718)를 취득해 세계 의약품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이번 특허는 항암물질 P8이 대장암에 치료 호과가 있음을 인정받은 것이다.

 

P8은 전임상 단계에서 단백질 P8의 대장암 세포 억제 효과가 쥐와 영장류를 통해 입증됐고, 독성과 부작용에 대한 안정성도 확인됐다.

 

셀바이오텍은 항암물질 P8이 김치유산균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에서 분비되는 기술을 확보해 대장암 치료제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 임상계획승인(IND)을 기다리는 중이다.

 

PP-P8은 한국인의 대장에 서식하는 김치유산균을 활용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경구용 유전자 치료제로 First-in-Class 대장암 신약이다.

 

안전성이 입증된 김치유산균을 바탕으로 한 유전자 기법을 활용한 치료제로써, 고농도 투여 및 장기적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따르는 합성 화합물 항암제의 단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셀바이오텍은 항암물질 P8에 대한 특허 외에도 유산균 약물전달시스템(DDS)과 유전자 발현 카세트에 대한 한국 특허를 취득했다.

 

또한 유럽미국일본 특허도 진행하고 있어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셀바이오텍은 연간 약 12조원에 달하는 세계 대장암 치료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국내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특허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며 해외 특허 선점을 통해 기술 경쟁력 확보와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응형

댓글()

전기이륜차로 배달 생태계 확산 노리는 ‘무빙’

산업|2021. 4. 3. 04:47
728x90
반응형

사진=무빙 제공

 

모빌리티 공유 플랫폼 스타트업인 무빙이 이륜차 수입제조 기업인 지우종합상사가 친환경 e-모빌리티 생태계 확산을 위해 협력한다.

 

친환경 이륜차 공유 플랫폼 운영사인 스타트업 무빙은 배달대행 분야에서 e-모빌리티 인프라를 확산하기 위해 지우종합상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친환경 전기 이륜차가 국내 라스트마일(Last Mile) 생태계에 안착할 수 있도록 실증사업구축사업을 공동 추진한다.

 

전기 이륜차 모델 이쿠터의 공식수입업체인 지우종합상사는 무빙과 기술 교류를 통해 국내 라스트마일 시자엥 친환경 바이크 공급을 시작한다.

 

이쿠터 E2’ 모델은 300만 번의 테스트를 거쳐 개발된 차체와 고품질의 충격완화 장치, 주행 효율이 뛰어난 중앙구동식 모터를 사용해 안정성과 성능 면에서 배달대행 라이더들에게 최적화된 전기이륜차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환경부로부터 보조금 지원 대상 인증을 받았다.

 

이륜차 공유구독 플랫폼을 운영 중인 무빙은 전국 주요 거점에 e-모빌리티용 공유 배터리 충전시스템(BSS)을 설치하는 등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무빙 BSS를 통해 배터리를 손쉽게 교체해 운행 편의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빙은 이번 업무협약을 기점으로, 경쟁력을 갖춘 모빌리티 업체와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무빙 이상명 대표는 지우종합상사와 같은 비전 있는 모빌리티 업체와의 협력은 앞으로 무빙이 주도할 BSS 기반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우종합상사 김용효 공동대표는 혁신적인 무빙 플랫폼과 이쿠터의 섬세한 기술력을 결합해 수준 높은 친환경 라스트마일 인프라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슈나이더 일렉트릭, 삼성중공업과 조선해양 기술 발전 위해 맞손

산업|2021. 4. 2. 02:16
728x90
반응형

삼성중공업 스마트선박에 적용된 슈나이더 일렉트릭 스마트 IoT 모터 보호 계전기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삼성중공업과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와 삼성중공업은 공동연구를 통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모터 보호 계전기의 스펙트럼 버전 제품(EOCR-iSEMMETS)를 선보였다.

 

4차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인공지능(AI)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스마트 쉽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하기 위함이다.

 

모터보호 계전기(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EOCR)는 모터의 전류전압에너지를 감시 및 보호하는 장치로 제조 공정 뿐 아니라 자동차, 가스, 상하수도, 공항, 철도 분야 및 빌딩 등 모터를 사용하는 곳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 넘게 항해하는 선박은 최소 수십개에서 최대 수백 대의 모터가 적용되며, 항해 도중 모터에 손상이 발생해 고장이 날 경우 수리 및 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모터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고 시점을 예측해 모터의 사전 수리 및 교체를 할 수 있다면 자산 및 장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연속적 운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스마트 IoT 모터 보호 계쩐기 스펙트럼 버전(EOCR-iSEMMETS)은 부하 전류의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snform, FFT)을 통한 분석으로 실시간 주파수 스펙트럼과 고주파를 분석해 모터 상태를 진단하고 보전한다.

 

전류 스펙트럼 저하도(Spectrum Degradation)를 가시화해 직관적인 스펙트럼 해석이 가능하고 이더넷 토잇도 지원한다.

 

삼성중공업은 안정적이고 지능적인 스마트 쉽 솔루션 구축을 위해 스마트 IoT 모터 보호 계전기 스펙트럼 버전(EOCR-iSEMMETS) 제품을 선박 제어시스템에 적용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의 모터 보호 계전기(EOCR)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물인터넷(loT) 연결을 통해 삼성중공업의 해상 스마트십 시스템인 에스베슬(SVESSEL)에 전송된다.

 

관리자는 삼성중공업의 에스베슬씨비엠(SVESSEL CBM)을 사용해 직접 모터컨트롤 판넬을 열어보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모터의 상태를 원격으로 체크해 모터의 이상 여부를 진단 및 예지 할 수 있다.

 

이전에는 모터의 이상 여부를 작업자의 제한적인 정보 확인 및 문제 해결에 집중했다면, 향후에는 상시 모터 정보 확인을 통해 모터의 이상 여부를 예측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해상과 육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선박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선박 내 탑재된 솔루션인 에스베슬온보드(SVESSEL Onboard)를 통해 최적 운항 계획 수립, 연료 소모량 및 선박 안전성 감시, 자동화된 보고 기능을 제공해 선박의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운항을 지원한다.

 

육상(Onshore)에서는 원격 선단 관리시스템인 에스베셀온쇼어(SVESSEL OnShore)로 실시간 장비 상태 감시, 수리 시점 알림, 선박 운영 성능 분석 기능을 제공해 선사들의 효율적 선단 관리를 돕는다.

 

삼성중공업 이동연 조선해양연구소장은 이번에 개발된 모터진단 솔루션을 세계 최초로 대한해운 등 가스 운반선에 시범 적용 중이며 삼성중공업은 스마트십의 시대라는 중요한 시기에 맞춰 디지털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의 협업은 삼성중공업이 업계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김경록 대표는 조선·철강·정유 등 중후장대 업계의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디지털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이번 협업을 통해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모터의 이상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여, 선박 디지털화에 한 걸음 다가가고 있다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앞으로도 고객의 상황에 맞춘 솔루션과 제품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한국공항공사, 사회적 경제 조직의 글로벌 진출 ‘특급도우미 역할 톡톡’

산업|2021. 4. 1. 23:37
728x90
반응형

한국공항공사 온라인 수출 상담회 / 사진=한국공항공사 제공

 

한국공항공사함께일하는재단과 진행한 ‘사회적 경제 조직 해외 온라인 판로 지원 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한국공항공사(사장 손창완)이 함께일하는재단(이사장 송현섭)202012월부터 20213월까지 진행된 해외 온라인 판로 지원 사업을 통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영 위기를 극복하고 글로벌온라인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지원했다.

 

슬로푸드 농업회사법인’, ‘레인보우팜 농업회사법인’, ‘맑고밝고ᄄᆞ뜻한협동조합’, ‘브로컬리컴퍼니’, ‘로이쿠’, ‘트리플래닛’, ‘아트임팩트’, ‘업드림코리아’, ‘오버플로우’, ‘터치포굿’, ‘포아시스’, ‘할리케이 등 총 12개 기업이 지원사업에 참석했다.

 

지원사업 결과 12개 기업 중 5개사 아마존 US에 입점했고 7개사가 온라인 수출 상담회에 참여해 30여 개의 베트남 현지 바이어와 미팅을 가졌다.

 

또한, 참여 기업에게 홍보마케팅물류 비용을 지원했다.

 

함께일하는재단 박지영 사무국장은 코로나19로 내수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글로벌 시장으로 판로를 확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열심히 참여해준 기업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공항공사와 함께일하는재단은 이번 사회적경제조직 해외온라인 판로지원사업외에 양천 사회적 경제 조직 성장 지원 사업’, '양천소공인협업화 지원 사업, '소공인·사회적 경제 조직 성장사다리 지원 사업', '가치행복행 샵in'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한국공항공사함께일하는재단과 진행한 사회적 경제 조직 해외 온라인 판로 지원 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한국공항공사(사장 손창완)이 함께일하는재단(이사장 송현섭)202012월부터 20213월까지 진행된 해외 온라인 판로 지원 사업을 통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영 위기를 극복하고 글로벌온라인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지원했다.

 

슬로푸드 농업회사법인’, ‘레인보우팜 농업회사법인’, ‘맑고밝고ᄄᆞ뜻한협동조합’, ‘브로컬리컴퍼니’, ‘로이쿠’, ‘트리플래닛’, ‘아트임팩트’, ‘업드림코리아’, ‘오버플로우’, ‘터치포굿’, ‘포아시스’, ‘할리케이 등 총 12개 기업이 지원사업에 참석했다.

 

지원사업 결과 12개 기업 중 5개사 아마존 US에 입점했고 7개사가 온라인 수출 상담회에 참여해 30여 개의 베트남 현지 바이어와 미팅을 가졌다.

 

또한, 참여 기업에게 홍보마케팅물류 비용을 지원했다.

 

함께일하는재단 박지영 사무국장은 코로나19로 내수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글로벌 시장으로 판로를 확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열심히 참여해준 기업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공항공사와 함께일하는재단은 이번 사회적경제조직 해외온라인 판로지원사업외에 양천 사회적 경제 조직 성장 지원 사업’, ‘양천소공인협업화 지원 사업’, ‘소공인사회적 경제 조직 성장사다리 지원 사업’, ‘가치행복행 샵in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별다방이 ‘별다방’ 문을 열었다

산업|2021. 3. 31. 11:54
728x90
반응형

사진=스타벅스 코리아 제공

지난 26일 스타벅스코리아가 별다방이 문을 열었다.

 

별다방은 국내 고객들이 스타벅스(Startbucks)라는 이름을 부르는 국민 애칭이었다.

 

지난 50년간 전세계 스타벅스는 지명 위주의 스타벅스 점포명을 채택했으나 22주년을 맞이하는 스타벅스 코리아는 이례적으로 한국 고객에 대한 존중과 감사의 의미를 담아 점포명을 별다방으로 결정했다.

 

지역과 고객 존중의 의미가 담긴 만큼 스타벅스는 한국에서 소개해 왔떤 추억을 담으면서도 친환경적이고 평등한 채용 등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내포한 매장을 오픈했다.

 

413,5m2 (124) 면적에 85석 규모를 갖춘 '별다방'은 일반 매장에 배치한 제품 외에도 리저브나 티바나 등 컨셉 매장에서 경험할 수 있던 음료와 푸드도 모두 소개했다.

 

디자인도 카페 컨셉의 인테리어를 적용하면서도 한국 전통 문양 기와를 모티브로 삼아 편안함과 안락함을 표현했다.

 

전세계 스타벅스 최초로 디지털 아트월을 매장 내에 적용한 것도 특징으로 가로 8미터, 세로 4미터의 LED 월이 매장 가운데 설치되며, 향후 스타벅스 커피 스토리와 관련한 다양한 영상이 공개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처음 접목한 사이렌오더 전용 픽업 공간과 커피세미나를 위한 별도 공간과 등 그 동안 일부 컨셉 매장이나 시범 운영 매장에서만 만나볼 수 있었던 공간들도 모두 별다방에서 새롭게 선보인다.

 

향후에는 지속가능경영의 주요한 컨셉이 될 '친환경' 관련 초석을 다져 매장 내 센서 설치를 통해 고객이 없을 경우 조명 자동 차단, 채광에 따라 내부 밝기 조절 시스템 등을 통한 전기료 절감효과 및 다양한 친환경 내장재 및 기자재를 다양하게 사용해 이를 통해 올해 안에 세계적으로 공인된 친환경 인증인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실버' 인증을 추진한다.

 

이번 별다방을 기점으로 향후 LEED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등의 국내외 친환경 인증을 받은 매장을 확대 도입해 소비전력 효율 개선 제품 및 대기전력 저감장비 도입 등을 통해 친환경 매장을 전국매장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지속가능경영의 또 하나의 주요 컨셉인 평등한 채용과 관련해서도 상징적인 매장으로 첫 발을 내디뎌'별다방' 근무 파트너는 스타벅스가 진행하고 있는 취약계층 채용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채용된 장애인 바리스타와 중장년 바리스타 등의 인력으로 구성된다.

 

향후에도 경력이 단절됐던 여성이 재입사한 리턴맘 바리스타, 취약계층 청년지원 바리스타 등의 채용으로까지 확대해 나가며 다양한 스토리를 가진 파트너들이 서로 어우러져 고객과 한 마음이 되는 별다방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해 나갈 예정이다.

 

송호섭 대표이사는 "별다방은 단순히 점포명만 특별한 매장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고객에 대한 존중의 의미가 담긴 특별한 매장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며, "스타벅스는 늘 고객과 함께 성장한다는 의미를 가슴 깊이 새기며, 별다방의 오픈을 시작점으로 환경 및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LG전자 주주단, 파워트레인 물적분할 승인

산업|2021. 3. 30. 11:23
728x90
반응형

LG전자

LG전자 주주단, 파워트레인 물적분할 승인

 

마그나와 합작법인 설립에 박차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 19기 주주총회에서 파워트레인 물적분할이 승인됐다.

 

19기 주주총회의 주요 의결사항은 VS사업본부 내 전기차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 관련 사업에 대한 분할계획서 승인과 재무제표 승인, 정관 변경 승인, 이사 선임, 감사위원회위원이 되는 이사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이었다.

 

이번 주주총회는 전자투표제가 도입되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도 주주들이 참석했다.

 

분할계획서가 승인되면서 마그나 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 InC.,)와의 전기차 파워트레인 분야 합작법인(Joint Venture) 설립에도 박차를 가하게 됐다.

 

물적분할을 통한 분할신설회사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LG Magna e-Powertrain Co., Ltd)의 지분 100%LG전자가 보유하게 된다.

 

이후 마그나가 분할신설법인의 지분 49%를 인수해 조인트벤처 설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은 올 7월에 공식 출범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

LG전자, 하외이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사업’ 위해 ESS 공급

산업|2021. 3. 28. 05:47
728x90
반응형

LG전자 컨테이너형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 /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가 미국 하와이에 상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을 공급한다.

 

하와이 주정부가 추진하는 마이크로그리드구축사업에 LG전자가 참여한 컨소시엄이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친환경 전력 시스템을 의미한다.

 

LG전자가 참여한 컨소시엄에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에너지 기술 관련 인공지능 기업인 인코더으 데크놀로지스(Encored Technologies), 하와이 대학교, 서울대학교, 광주 과학기술원 등이 참여했다.

 

20216월부터 하와이 주정부 산하 연구소 하와이자연에너지연구기구(NELHA, Natural Energy Laboratory of Hawaii Authority)에 사용될 어니저장시스템을 공급하게 된다.

 

LG전자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연구소가 운영하는 양식장 해구공급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하와이 주정부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확대해 2045년까지 100% 재생 에너지원으로 전력 공급할 계획이다.

 

LG전자 ESS250kW(키로와트)급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전력관리시스템(PMS; Power Management System), 756kWh급 배터리, 냉난방기, 소화설비, 발전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전력계통에 운반하는 수배전반 등이 패키지로 되어 있어 설치가 간편하다.

 

PCS-30()부터 +50도까지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PCS를 병렬로 이어 붙일 수 있어 설치 활용도도 높은데다 이번에 PCS에 처음 선보이는 무정전비상전원기능(Seamless Backup Functionally)은 정전이 발생했을 때에도 20ms(밀리세컨드, 1000분의 1) 이내로 전력을 신속하고 끊김 없이 공급해준다.

 

이번에 설치될 ESS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특이사항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데다 고객들은 PCS와 배터리는 물론 공조장치까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가 미국 주정부에 상업용 ESS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LG저낮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해외 ESS 시장의 사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LG전자 ESS사업담당 안혁성 상무는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앞세워 해외 ESS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디앤에이모터스-경남도청 ‘전기이륜차 공유배터리 충전시스템’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산업|2021. 3. 28. 05:20
728x90
반응형

EM-1S와 D-Staiton / 사진=디엔에이모터스 제공

 

 

디앤에이모터스가 경상남도 도청과 배달용 전기이륜차 확대보급을 위한 공유배터리 충전시스템(BSS)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디앤에이(DNA Motors)의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스테이션인 D-Station5월부터 시범 운영된다.

 

BSS(Battery Swapping Station)은 전기이륜차의 배터리를 공유하는 정유장 개념으로 미래 모빌리티 사업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이륜차가 내연기관 대비 1회 충전 시 짧은 주행거리와 긴 충전시간으로 배달용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으나 배기가스 및 엔진 소음이 없어 친환경 이동 수단으로서는 주목받아 왔다.

 

D-Station1분 내외의 짧은 시간과 간단한 조작만으로 충전된 배터리 교환이 가능해 전기이륜차의 주행을 지속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경상남도는 업무협약을 체결해 도심지 내의 주요 지점에 D-Station 설치를 적극 지원하고 전기이륜차 보급목표 1100대 중 배달용 전기이륜차 330대를 우선 배정했다.

 

또한 KT 링커스와도 협력을 통해 공중전화기 부스 등에 설치해 배달라이더들이 이용하기 쉽도록 조치했다.

 

한편, D-Station 적용 모델인 EM-1S4월 출시를 앞두고 있다.

 

삼성SDI의 배터리셀을 사용한 교환형 배터리가 적용돼 배터리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내연기관 100cc급 성능을 보유한 소형급 전기이륜차로, 스마트키, USB충전 단자, 관제 서비스 등이 지원돼 배달라이더들의 사용자 편의성까지 극대화 시켰다.

 

경남도 기후환경산립국장은 공유배터리 충전시스템 구축 업무협약은 민·관이 협력해 내연기관 이륜차로 인한 배기가스와 소음으로 인한 도민불편을 해소하고 배달라이더들의 경비 절감에 도움을 주는 의미 있는 협약으로 앞으로도 민·관 협력사업을 지속해서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디앤에이모터스 홍성관 대표이사는 경남도와의 협력을 통해 전기이륜차 공유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조기 구축해 배달라이더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