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채 2000조 시대 돌입…1인당 국민부담도 1635만원

경제|2021. 4. 12. 10:58
728x90
반응형

기획재정부

 

국가 재정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국가부채가 2020242조원 가까이 급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2000조 원 시대에 돌입하게 됐다.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국채발행과 공무원연금군인연금으로 지급해야 할 연금충당부채도 크게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국무회의를 거쳐 심의의결된 ‘2020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가부채는 19853000억 원으로 201917437000억 원보다 2416000억원(13.9%)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국고채 등 확정부채와 연금충당부채 등 비확정부채가 모두 증가했다.

 

재무제표상 부채는 지급시기와 금액 확정 여부에 따라 확정부채와 비확정부채로 나뉜다.

 

2020년에는 구채 발행 증가로 확정부채가 1116000억 원 늘었고, 공무원연금군인연금으로 지급해야 할 돈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연금충당부채도 증가해 비확정부채도 130조원 상승했다.

 

연금충당부채를 제외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국가채무는 8469000억 원을 기록해 1237000억 원 증가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긴급재난지원금 재언 조달을 위한 67조원 규모의 4차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적자 국채를 발행했기 때문이다.

 

국민 1인당 부담도 커지고 있다.

 

20205178만 명의 인구를 국가채무로 나눈 값은 1635만 원이다.

 

직전연도 국가채무 7232000억 원에 대한 국민 1인당 부담액이 1398만 원 가량으로 1년 사이에 237만 원 증가했다.

 

경기 악화와 세정 지원 확대로 수입은 늘지 않았으나 지출은 대폭 늘었단 의미다.

 

통합재정수지 적자는 712000억 원이며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12조 원을 기록해 2011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일시적인 채무 증가를 감내하더라도 확장재정을 통해 위기를 조기 극복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기재부는 "재정의 적극적 역할 등에 따라 2020년 실질성장률이 마이너스(-)1.0%로 주요 선진국보다 역성장폭을 최소화했다""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등 국제기구도 한국의 확장재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가채무의 빠른 증가 속도, 중장기 재정여건 등을 감안해 재정건전성 관리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재정의 역할과 중장기 재정건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재정준칙 법제화와 선제적 총량관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가부채의 일부인 중앙·지방정부 국가채무(D1)20208469000억 원으로 2019년보다 1237000억 원 늘었는데, 정부는 2021년에도 국가채무가 119조 원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2022년에는 1253000억 원, 2023년에는 1259000억 원, 2024년에는 1307000억 원의 국가채무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반응형

댓글()

포스코케미칼, 美 얼터엄셀즈에 음극재 공급한다

산업|2021. 4. 12. 09:40
728x90
반응형

포스코케미칼 세종 음극재공장 전경 / 사진=포스코케미칼 제공

 

포스코케미칼이 음극재를 미국 얼티엄셀즈에 공급한다.

 

제너럴 모터스(GM)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 설립한 배터리사인 얼티엄셀즈에 양극재에 이어 독자 개발한 음극재를 공급한다.

 

202012월 양극재 공급사로 선정된 포스코 케미칼은 GM이 생산하는 전용 전기차 플랫폼 얼티엄에 포스코케미칼 제품이 탑재된다.

 

이번 음극재 공급을 통해 세계 411%의 점유율을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얼티엄셀즈는 고품질의 배터리 핵심 소재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케미칼이 개발한 저팽창 음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에 꼭 필요한 안정성, 수명, 충전속도 성능을 크게 높이면서 가격은 낮출 수 있는 소재다.

 

포스코 케미칼은 세종 공장에서 저팽창 음금재를 생산해 배터리 시장을 공략 중이다. 얼티엄셀즈를 포함해 국내외 배터리사에도 공급 확대에 나선다.

 

포스코케미칼은 "이번 공급사 선정은 포스코 그룹의 연구개발, 양산 능력 확대, 원료투자 등 역량을 결집한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소재기업으로 자리를 굳건히 다지겠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2019년부터 포스코켐텍의 음극재와 포스코ESM의 양극재 사업을 포스코케미칼로 통합해 운영 중이며 이차전지소재연구센터를 국내 최초로 설립하기도 했다.

 

2030년까지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매출액 연 23조 원을 목표로 매진 중이다.

 

반응형

댓글()

KISA, 정보보호 공시제도에 컨설팅 지원한다

정부시책|2021. 4. 12. 07:29
728x90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전경 / 사진=비긴스타트 DB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정보보호 공시제도에 대한 무료 컨설팅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과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가 기업의 정보보호 공시 참여를 지원하고 공시 자료산출과 절차 안내 등 전 과정에 대한 무료 컨설팅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정보보호 공시제도는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정보보호산업진흥법) 13조에 의거, 기업이 정보보호 관련 정보를 자율적으로 시장에 공개함으로써 기업은 정보보호 책임 및 신뢰도를 강화하고 이용자는 정보보호 우수기업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 2016년부터 정보보호 공시를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을 정보보호부문 투자액, 전담인력 인증점검활동 등 정보보호 현황에 대한 자료 산출 방법과 향후 자발적 공시를 위한 절차, 모니터링 점검 등에 대해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개정 및 정보보호 공시에 관한 고시제정, 설명회 개최 등의 노력을 지속해 20162개 기업에서 201710개로 늘었고, 2018년에 20개 기업, 2019년에 30개 기업, 202045개로 공시 기업이 증가했다.

 

2020년에는 국내 대학교, 개인SW 개발, 금융권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14곳 최초로 정보보호 현황을 자율 공시했다.

 

기업이 정보보호 공시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ISMS-P 인증 수수료 할인 등의 혜택과 조직 내 임직원의 정보보호 관심이 증가하고 기업의 이미지 제고 등의 이유를 꼽았다.

 

현재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를 내용으로 국회에서 정보보호산업진흥법개정안 최종 가결되면 대통령령에 따른 일정규모 이상의 기업은 정보보호 공시를 의무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컨설팅 지원사업에 대한 기업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컨설팅은 정보보호산업진흥법13조에 의거한 정보보호 공시대상(정보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정보를 매개하는 자)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은 KISA 누리집 공지사항 게시판,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 등을 통해 49()부터 연중 접수받으며, 50개 기업을 선정해 무료 컨설팅을 진행한다.

 

KISA 정보보호산업본부 최광희 본부장은 코로나 19로 비대면 환경이 일상화되면서 기업의 정보보호 책임과 중요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정보보호 공시 참여를 통해 기업이 정보보호 현황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련 투자와 관심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SK텔레콤-국립국어원, AI 한국어 모델 개발한다

IT|2021. 4. 12. 00:01
728x90
반응형

SKT 데이비스 에릭 하트먼 Language Superintelligence Labs장(좌) 국립국어원 정희원 어문연구실장(우) /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국립국어원의 언어 정보를 활용해 한국어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언어모델을 개발한다.

 

차세대 인공지능 한국어 모델은 사람의 능력 수준으려 팡가받는 GPT-3와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어 범용 언어 모델(General-Purpose Languege Model, GLM)은 언어 관련 문제 풀이, 글짓기, 번역 및 문장에 따라 간단한 코딩을 수행하는 GPT-3의 기능을 한국어로도 구현하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GLM은 일상 감성 대화, 고객센터 대화 뿐 아니라 시사, 문학, 역사, 게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언어 활동에 적용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분야에 추가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SKTGLM150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거대 언어 모델로 개발할 방침이다.

 

현재 최신 언에 모델은 GPT-31750억 개의 매개 변수를 보유 중이며, 이전 버전인 GPT-2보다 100배 이상 높은 정확도와 활용도를 보유하고 있어 GLM이 한국어 AI 모델에 대한 평가를 갱신할 것으로 보인다.

 

SKT2021년 연말까지 GLM을 개발해 내부 서비스를 통해 모델 성능을 검증하고 상용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어 언어 모델 성능 평가 방법 개발 및 한국어 데이터 품질 평가 연구도 추진한다.

 

SKT 데이비스 에릭 하트먼 Language Superintelligence Labs장은 “SKT는 한국어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한국어의 정보화에 이바지하고 있다이번 국립국어원과의 협력을 계기로 한국어의 과학화, 세계화에도 이바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국어원 정희원 어문연구실장은 앞으로도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언어 정보자원을 지속해서 발굴해 관련 산업계와 학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개발해온 SK텔레콤은 2019KoBERT를 개발해 챗봇 등에 활용하는 중이다.

 

20204월에는 KoGPT-2를 개발해 챗봇 대화를 더 발전시켰고 202010월에는 뉴스와 문서를 고품질 요약문으로 만들어내는 텍스트 처리 능력이 뛰어난 KoBART를 개발했다.

 

국립국어원은 ‘2021년 국어 정보처리 시스템 경진대회를 개최해 SKTAI 언어 모델을 활용해 AI의 언어소통 능력을 겨루는 행사를 개최하기로 했다.

반응형

댓글()

LG전자 1분기 매출은 18조 8000억 원 ‘사상 최대치 기대감 고조’

경제|2021. 4. 11. 23:37
728x90
반응형

LG전자 / 사진=비긴스타트 DB

LG전자가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LG전자는 20211분기 매출은 188000억 원을 넘어섰으며, 영업이익은 15000억 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LG전자 창사 이래 사상 최대의 실적이다.

 

LG전자의 매출 188057억 원으로 20201분기 대비 27.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5178억 원으로 20201분기 대비 39.2% 증가했다.

 

특히 철수를 결정한 휴대전화 부문의 적자에도 불구하고 높은 실적을 기록한 것은 생활가전과 TV 판매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응형

댓글()

스마트폰‧TV‧가전에서 선전한 삼성전자 ‘매출 65조 달성’

경제|2021. 4. 11. 23:32
728x90
반응형

삼성디지털시티 수원 사업장 / 사진=비긴스타트 DB

삼성전자가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65조 원, 영업이익은 93000억원을 달성해 깜짝 실적인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01분기 매출 624000억 원 대비 17.48%, 영업이익은 62300억 원 대비 44.19% 증가한 것이다.

 

이는 반도체 부문이 연초 기대에 못미쳤지만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TV·가전 등 완성품들이 시장에서 선전했기 때문이다.

 

매출은 20203분기 기록한 역대 최대치인 669600억 원에 버금가는 수준이며, 영업이익은 89000억 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웃돈다.

 

삼성전자는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그간의 시장 현황을 통해 반도체 부분은 부진한 가운데 스마트폰과 TV, 가전에서 만회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분기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IM) 부문의 예상 영업이익이 43천억원 안팎으로 분기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3월에서 1월로 출시 시기를 앞당긴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 S21과 보급형 갤럭시 A시리즈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TV와 생활가전이 포함된 소비자 가전(CE)의 판매도 호조를 보이면서 1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반도체는 공정 개선 비용, 미국 오스틴 공장 가동 중단 여파 등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35천억36천억원 정도에 그친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댓글()

대구-경북-대구은행, 지역 관광‧금융 활성화 위해 뭉쳤다

경제|2021. 4. 11. 23:26
728x90
반응형

관광 및 금융활성화를 위한 상생업무협약식 / 사진=DGB대구은행 제공

 

DGB대구은행이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와 대구경북 핫플 가보자!’ 관광 및 금융 활성화 협약식을 진행했다.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 경기를 활성화하고, 지역 대표기업으로 지역 연계 경제 활동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본 협약식은 대구경북의 관광명소에서 위치 인증을 하면 DGB대구은행의 특정 상품에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DGB대구은행 최초로 위성항법장치()를 적용한 1년제 장기적금 상품과 결합한 상품으로 ‘DGB핫플적금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된다.

 

관광지 연계금융상품을 출시하는 DGB대구은행은 대구경북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대구와 경북은 DGB대구은행의 금융상품과 관련된 관광명소 선정과 관련 지자체의 업무 협조 및 행정, 마케팅 업무를 지원해 관광과 금융의 동반 성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레 역량을 모은다.

 

대구 · 경북 핫플 가보자!’라는 구호와 함께 DGB대구은행 모바일앱 IM뱅크로 GPS를 통한 방문인증으로 디지털 관광 스탬프와 우대금리를 받는 시범을 보이는 한편, 주변 소상공인과 시민들에게 서비스 홍보 및 관광 활성화를 알리는 기념품을 전달했다.

 

DGB대구은행 임성훈 은행장은 지역 대표 기관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대구·경북 지자체와 협력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반응형

댓글()

DGB금융지주, 내부등급법 사용 승인받아

경제|2021. 4. 11. 10:55
728x90
반응형

DGB금융그룹

DGB금융지주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바젤신용리스크 부문의 내부등급법사용을 지방지주사 중 최초로 최종 승인을 받았다.

 

지난 201612월 내부등금법 기준 위험가중자산(RWA) 측정, 검증,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 DGB금융지주는 운영기관을 거친 뒤 기본내부등급법 도입에 요구되는 내부등금법 관련 시스템(그룹기업신용평가, RWA산출 및 검증, 적합성 검증, 위기상황분석) 구축과 운영, 시스템을 운영할 통제조직, 내부규정 등의 최소 요건을 모두 충족했다.

 

내부등급법이 적용된다면 금융사가 평가한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자체적으로 추정한 부도율(PD), 부도시손실률(LGD), 부도시익스포져(EAD) 등을 적용해 위험가중자산(RWA)을 산출한다.

 

금융감독원이 지정한 적격 신용평가 기관에서 평가받은 신용등급만용 사용이 가능한 표준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위험가중자산(RWA)이 줄어들게 되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상승한다.

 

DGB금융지주는 202012월 말 기준 BIS 총자본비율은 12.41%, 보통주자본비율은 9.59%.

 

이를 내부등금법을 적용하면 BIS 총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은 약 2%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번 승인 획득은 선진화된 리스크관리 기반을 확보한 것으로 그룹 자본적정성 제고와 대외 신인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GB금융지주 김태오 회장은 금번 승인은 DGB금융그룹의 리스크관리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온 결과로, DGB금융그룹의 리스크관리 수준이 국제적 기준을 총족하고 있음을 금융당국으로부터 인정받은 것이다라고 설명하면서 “DGB금융그룹은 리스크관리 인력 및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소상공인, 중소기업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뉴딜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 는 뜻을 밝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