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빗 ‘준법감시인’ 선임으로 금융회사 기준 맞춘다

IT|2021. 4. 1. 06:46
728x90
반응형

한국디지털거래소 오요한 상무

 

 

가상자산 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가 오요한 상무를 준법감시인에 선임했다.

 

한국디지털거래소의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고 있떤 오요한 상무는 준법감시인에 선임되면서 내부통제 및 준법감시 체계 강화를 위해 노력하게 됐다.

 

금융회사의 지배 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반적인 금융회사는 내부통제기준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내부통제기준을 위반하는 경우 이를 조사하는 등 업무를 총괄하는 준법감시인을 의무적으로 선임해야 한다.

 

오요한 상무는 26년간 안진회계법인, 크레디트스위스증권, 비엔피파리바증권, 우리금융 우리펀드서비스를 거치며 기획, 인사, 재무 등 경영관리업무의 경험을 쌓아온 재원이다.

 

내부회계관리자, 공시총괄책임자, 글로벌파생상품전문가, 외국꼐증권회사인 파이낸셜 컨트롤 클럽(Financial Control Clup) 대표, 사무관리회사 실무자협의회 간사, 우리금융그룹 CEO협의회 기획담당자 등을 역임한 법인설립전문가이자 금융전문가기도 하다.

 

플라이빗은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고 신뢰성 있는 경영 활동을 위해 내부통제제도를 구축 중이다.

 

현재까지 제정된 내부통제규정은 내부통제 조직 및 기준’, ‘이사회 및 경영진의 역할 및 책임 명문화’, ‘준법감시인 및 내부통제체제 운영’, ‘업무 수행 시 준수사항’, ‘자금세탁행위 방지체제 구축 및 운영등으로 구성됐다.

 

오요한 플라이빗 준법감시인은 자금세탁방지(AML)시스템, 고객신원확인(KYC) 기반을 구축하고 철저한 준법감시체제 및 내부통제 기준과 제도적 장치의 기틀을 마련할 예정이며 고객 보호와 권익 강화에 주력해 준법지원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사적 차원에서 내부통제 및 리스크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건전한 통제 환경과 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반응형

댓글()

헥슬란트, 한전 연구과제 사업에 참여

IT|2021. 3. 31. 21:53
728x90
반응형

 

블록체인 기업 헥슬란트가 한국전력기술의 연구과제에 참여한다.

 

엔지니어링 솔루션 개발사 시버리솔루션스가 주관하는 한국전력기술의 ‘Seed형 디지털변환(DX) 중소기업 연구과제는 에너지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획된 기술 개발 사업이다.

 

헥슬란트는 한국전력기술에 원전 기자재 이력 관리를 위해 옥텟 월렛 기술을 제공한다.

 

한국전력기술은 풍력 발전, 해양 에너지, 연료 전지 등 신 재생 에너지 기술을 보유한 국내 에너지 기술회사로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환경 개선 인프라 및 에코 에너지 기반 성장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디지털엔지니어링 및 가동원전 안전성 분야의 신기술 사업이 추진된다.

 

시버리솔루션스 안경익 대표는 한전기술과 협력하여 차세대 에너지산업을 위한 디지털 전환을 연구할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분야의 새로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헥슬란트 노진우 대표는 데이터 생산 시점부터 실적용 시점까지의 이력 관리는 가장 중요한 보안 요소라며, “블록체인 기반 원전 기자재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투명한 원전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헥슬란트는 블록체인 지갑 솔루션 옥텟 월렛(Octet Wallet)’을 통해 블록체인 환경 구축, 서비스 개발, 키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거래소, 금융기관, 서비스 기업 대상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프리코네’와 ‘아이마스’의 콜라보레이션

IT|2021. 3. 31. 12:47
728x90
반응형

사진=카카오게임즈 제공

사이게임즈(Cy games)가 개발하고 카카오게임즈(Kakao Games)가 퍼블리싱하는 인기 모바일 애니메이션 RPG '프린세스 커넥트!Re:Dvie(:다이브)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다.

 

유명 아이돌 프로듀스 게임인 아이돌 마스터(THE iDOLM@STER)’의 시리즈 중 하나인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는 모바일 리듬 게임으로 아이돌을 목표로하는 소녀들을 육성하는 게임으로 음반, 만화책, 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저변을 넓여온 유명 IP.

 

이번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카카오게임즈는 신규 한정 캐릭터 우즈키(데레마스)’를 추가했다.

 

아군을 지원하고 강력한 범위 공격을 통해 적을 공격하는 캐릭터로 전방 범위 적 전체에 물리 데미지를 입히고 아군 전체의 물리 및 마법 공격력을 증가하는 딜포터형 캐릭터다.

 

콜라보레이션 기간동안 특별 스토리 이벤트 스타라이트 프린세스 Re:M@STER!'도 오픈된다.

 

스토리 이벤트를 통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인 우즈키(데레마스)’, ‘미오(데레마스)’, ‘(데레마스)’를 중심으로 한 특별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다.

 

이벤트 퀘스트와 토벌 이벤트를 통해 미오(데레마스)’를 획득할 수 있으며, ‘미오(데레마스)’치카의 메모리 피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퀘스트에서 경험치 1.5배를 획득이 가능하다.

반응형

댓글()

1400억 원 규모 ESG 채권 발행한 포스코건설

경제|2021. 3. 31. 12:43
728x90
반응형

포스코건설 송도 사옥 / 사진=포스코 건설 제공

포스코건설이 1400억 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ESG 채권은 사회적 책임 투자를 목적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녹색채권(Envionrment), 사회적 채권(Social), 지속가능채권(Governance)로 구성돼 있다.

 

포스코건설이 발행한 채권은 녹색채권과 사회적 채권을 결합한 지속가능채권이다.

 

당초에 회사채를 포함해 1100억 원을 발행할 예정이었으나 수요예측에서 모집액의 6배에 가까운 6300억 원의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ESG 채권 1400억 원, 회사채 400억 원 으로 총 1800억 원 규모로 확대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투자자들의 납입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326일 발행을 완료했다.

 

이번 채권 발행으로 확보된 자금은 녹색건물 인증을 받은 친환경건축물 건설과 중소협력업체에 대한 공사기성금 조기지급 재원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포스코건설 ESG채권 수요예측 흥행은 전년 경영실적을 뛰어넘는 성과와 함께 지난해 국내 건설사 중 유일하게 신용등급이 한단계 상향 조정됐고 시공능력 평가순위 상위 5위 진입, ESG 1등급 평가 등과 맞물린 결과로 평가된다.

반응형

댓글()

우마무스메 한국 출시 발표한 사이게임즈 “말딸들이 온다!”

IT|2021. 3. 31. 12:39
728x90
반응형

우마무스메

 

사이게임즈(Cygames)에서 개발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한국어 서비스를 출시한다.

 

지난 29일 오후 9시 우마무스메와 관련된 주제를 소개하는 공식 생방송 프로그램인 파카 라이브 TV Vol5‘가 방송됐다.

 

방송은 2개 파트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우마무스메의 신규 콘텐츠와 한국어와 중걱어 버전 서비스가 공식 발표됐다.

 

일본 경마를 소재한 우마무스메는 경주마를 미소녀로 모에화한 것이 특징으로, 게임 속에는 실제 경마 용어 및 실제 경기 때 말이 주행하는 방식이 반영됐다.

 

실제 경주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이 스토리가 다양한 이벤트에 등장해 게임 유저와 경마 팬들 양쪽의 호평을 받고 있다.

 

장기간 출시 연기된 우마무스메는 2021224일 일본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고 시작과 동시에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보름만에 2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고 매출 100억 엔을 1달 만에 돌파했다.

 

3월 말을 기준으로 일본 모바일 게임 매출 순위에서 페이트 그랜드 오더’, ‘원신’, ‘퍼즐앤드래곤등을 제치고 압도적인 1위를 기록 중이다.

 

한국 게임 커뮤니티의 반응도 압도적이다. 국가 IP 제한이 걸려있음에도 이를 감수하면서 일본어 버전을 플레이 중이며, ‘말딸이라는 별명으로 통하고 있다.

 

사이게임즈의 프린세스 커넥트! Re:Dvie(리다이브)를 퍼블리싱 중인 카카오 게임즈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로 국내 서비스 명을 확정하고 국내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사이게임즈는 20181월 한국에 상표를 출원하면서 우마무스메’, ‘말딸’, ‘망아지처녀’, ‘말소녀등 여러 한국어 이름들을 출원해 한국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고 결국 정식 출시가 결정됐다.

반응형

댓글()

아프리카TV, NH농협은행과 e스포츠 리그 후원 협약

사회∼문화|2021. 3. 31. 12:36
728x90
반응형

아프리카TV가 NH농협은행과 BJ멸망전 대회 후원 협약을 체결했다. / 사진=아프리카TV 제공

 

아프리카TV‘BJ멸망전NH농협은행이 공식 후원한다.

 

아프리카TV 프릭업 스튜디오에서 NH농협은행은 아프리카TV‘e스포츠 리그 후원 협약식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아프리카TV 정찬용 대표이사와 NH농협은행 권준학 은행장이 참석했다.

 

NH농협은행은 이번 협약식을 시작으로 아프리카TV 'BJ멸망전리그오브레전드‘, ’배틀그라운드‘, ’스타크래프트종목의 대회를 후원할 예정이다.

 

BJ멸망전은 아프리카TV의 인기 게임 BJ들이 참여하는 아프리카TV의 대표적인 캐주얼 e스포츠 리그다.

 

양사는 이번 협약 이후 다양한 e스포츠 관련 콘텐츠를 제작해 BJ멸망전의 시청자들에게도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BJ멸망전의 금융권 후원은 이번이 처음이다.

 

NH농협은행은 후원을 통해 e스포츠 활성화에 일조하면서 20-30 세대와의 접점을 늘려갈 계획이다.

 

‘2021 NH농협은행 LoL BJ멸망전시즌1329일 월요일에 예선전을 시작했고 오는 420일에 대망의 결승전을 진행한다.

 

배틀그라운드와 스타크래프트 BJ멸망전은 오는 6월에 예고됐다.

 

아프리카TV 정찬용 대표이사는 이제 e스포츠는 단순히 보는 게임을 넘어 콘텐츠를 통해 유저들이 함께 즐기고 소통하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이번 협약을 계기로 NH농협은행과 함께 e스포츠 팬, 유저들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해 더욱 활발한 소통을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인도네시아에서 NFT 실증사업에 들어가는 아이템버스

IT|2021. 3. 31. 12:28
728x90
반응형

 

아이템버스(ItemVerse)가 레디전 테크놀로지(Redision Teknologi)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에서 실증 사업에 돌입한다.

 

아이템버스는 람다256‘K-NFT’를 공동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인도네시아 결제대행사인 레디전 테크놀로지는 인도네시아 1위 통신사인 텔콤셀(Telkomsel)의 액티베이션 파트너로 모바일 결제사업 부분을 독점하고 있다.

 

16000만 명의 유저를 확보 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주변 8개국 통신사의 지분 30%를 보유한 동남아시아 최대 통신사인 텔콤셀은 게임과 결제에 사용디는 선물카인 풀사(Pulsa)나 전기요금 납부 플랫폼 등 거대 콘텐츠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아이템버스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텔콤셀 애플리케이션 마켓과 레디전 테크놀로지 소유 게임 플랫폼에서 아이템버스 프로젝트 내 모바일게임과 블록체인 게임이 서비스되도록 상호 협력한다.

 

또한 범위를 인도네시아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전체에 프로젝트가 홍보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블록체인 산업과 관련된 모든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아이템버스는 레디전은 인도네시아 텔콤사의 핵심 파트너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시장에 아이템버스의 블록체인 사업이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잡은것이라 생각한다. 레디전 테크놀로지와 함께 아이템버스 플랫폼과 콘텐츠 산업이 끈끈한 협력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베트남과 87억 규모 수출상덤 실적 달성한 스마트웰니스 규제특구

정부시책|2021. 3. 31. 12:23
728x90
반응형

3월 23일 '2021 베트남 메디팜 엑스포' 온라인 B2B 상담회 / 사진=대구광역시 제공

‘2021 베트남 메디팜 엑스포온라인 B2B 상담회에서 스마트웰니스 규자제유특구에서 개발중인 의료웰니스 기기의 해외진출과 판로개척이 776만 달러(한화 약 87억 원)의 상담실적을 달성했다.

 

 

20207월부터 본격적인 실증에 착수한 대구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는 첨단 ICT 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하는 헬스케어 특구다.

 

현재 시제품 생산을 시작으로 2021년 상반기에 인허가를 거쳐 제품 상용화가 진행된다

 

대구광역시는 코로나19로 해외홍보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기업 실증제품에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상담회를 마련했다.

 

참여 기업은 코렌텍, 엔도비전, 제나 등 스마트웰니스 특구에 사업자를 둔 7개 특구사업자다.

 

맞춤형 바이어 선별 및 비즈니스 매칭을 통해 27개 베트남 의료기업과 병원이 참여했고 70여 건의 상담이 이루어졌다.

 

현장에선 1:1 디지털 화상 상담장에서 제품 설명과 구매의향, 향후 계획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코렌텍은 공동제조소에서 생산하는 인공관절을 포함한 의료기기의 베트남 판매 독점권과 구매 관련 상담을 진행했다.

 

제나는 정신건강 분석 인공지능을 탑재한 치매예측 및 인지재활 치료기기의 판매와 테스트베드 운영을 위한 방문일정 등을 협의했다.

 

대구광역시는 올해 8월 규제자유특구 실증기간의 종료 후에도 참여기업의 사업중단이 없도록 법령 정비와 임시허가 전환, 실증특례 연장 등 후속 조치를 추진해 제품 및 서비스 상용화와 신시장 개척을 추진 중이다.

 

대구광역시 혁신성장국 이승대 국장은 "언택트 시대에 온라인 상담회와 같이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한 다각적 지원으로 규제자유특구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더 활성화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