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결제원, 이르면, 6월부터 블록체인 ID로 접속 및 출입 가능

IT|2020. 5. 19. 20:15
728x90
반응형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사원증 개념 / 사진=금융결제원 제공

 

지난 18일 금융결제원이 2020년 하반기부터 모바일 사원증을 발급하고 출입과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금융결제원은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모바일 공무원증이 도입되면서 이르면 6월달부터 모바일 신분증은 지문인증 등 생체인증으로 구동해 출입 게이트의 통신장치에 제시해 기관 출입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저장된 신원정보를 이용해 쉽게 기관을 출입하고 아이디나 비밀번호 없이도 곧장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블록체인 분산 ID 기반으로 발급되 모바일 사원증은 금융결제원 직원 소유의 스마트폰에 분산ID 기반 디지털 신분증을 발급받아 출입과 인증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분산ID 기반 모바일 사원증의 인프라는 라온시큐어가 개발한 분산ID 기술인 옴니원(Omnione)을 접목헀다. 옴니원은 이오스(EO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금융결제원

 

금융결제원은 분산ID를 통한 비대면계좌 개설 서비스를 오는 9월에 제공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 투자 상담 등 비대면 계좌 개설, 금융상품 가입에 블록체인 분산ID를 통해 신원을 인증하는 것으로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금융결제원과 파운트가 함꼐 개발을 진행중인 DID 관련 사업이다.

반응형

댓글()

우아한형제들, 배달 로봇 ‘딜리타워’ 시범 서비스 재시행

IT|2020. 5. 19. 19:50
728x90
반응형

우아한형제들이 딜리타워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송파구 방어동에 위치한 우아한형제들 본사에서 실내 자율주행 배달로봇 딜리타워의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다.

 

딜리타워의 시범 서비스는 우아한형제들 임직원이 위치한 18층에 있는 사내 카페에서 주문하면 각 층의 사무실과 회의실로 배달하는 방식이다.

 

엘리베이터와도 연동돼 스스로 호출하고 타고 내릴 수 있고, 사전에 이동 경로를 입력해 주문자가 있는 곳으로 배송한다.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시범 운행 때는 총 94건의 주문을 받아 총 255잔의 음료가 배달됐고 기계 오류나 배달 실패는 없었으며, 이번 시범 서비스 이후 하반기에는 오피스 및 호텔 등으로 시범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2020년 하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딜리타워의 기능성과 서비스 방식 등을 고도화 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김요섭 우아한형제들 로봇사업실 이사는 "오피스, 주상복합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형 건물에 입점해 있으면서도 정작 매장을 찾는 손님에게만 식음료 판매를 할 수 있었던 커피숍, 빵집 등에게 딜리타워는 새로운 수요 창출 기능을 할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비대면 주문과 배달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음식이나 물품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근로복지공단‧한국우편사업진흥원 ‘지능형 우편물 통합관리서비스’ 로 전자정부 목표에 성큼

IT|2020. 5. 18. 01:00
728x90
반응형

근로복지공단과 한국우편사업진흥원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15일 근로복지공단(이사장 강순희)이 한국우편사업진흥원(원장 민재석)과 함께 지능형 우편물 통합관리서비스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능형 우편물 통합관리서비스는 빅데이터(Bigdata)와 인공지능(AI) 기술이 융합된 온라인 맞춤형 우편서비스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으로 보안(위변조부인 방지) 서비스가 결합된 디지털화 우편통합 서비스다.

 

근로복지공단은 소상공인영세사업주들의 일자리안정자금지원 통지서안내문 등 연간 381만 여건의 서류업무에 시범 적용하고, 고용보험산업재해보험과 관련된 종이우편물 관리를 단계적으로 디지털화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우편사서함 시스템 / 사진=근로복지공단 제공

 

우편물 통합관리서비스는 정확하고 다양한 실시간 전달체계를 구축하여 대국민 신뢰성 향상과 업무편의성 및 효율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능형 우편정보서비스와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디지털 경영 기반으로 대국민 서비스를 혁신하고 개선 결과를 공유해 서비스를 받게 되는 국민의 일상을 좀 더 편리한 세상으로 변화시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근로복지공단은 전 소속기관 개별 우편 송수신 업무 통합관리, 우편물 수발신 관리업무 효율화, 페이퍼리스(Paperless) 우편물 관리, 반송 우편물 최소화 등으로 고객과의 소통 채널 강화와 내부 업무 효율화를 통한 미래지향적인 혁신을 모색하고 있다.

 

근로복지공단 강순희 이사장은 지능형 우편물 통합관리서비스는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선도하는 사업으로서 대국민 서비스 개선과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경영에 대한 실증 모델로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보도자료] 크립토 워리어즈, 코나 코인과 파트너십으로 생태계 조성 나선다

IT|2020. 5. 15. 11:11
728x90
반응형

크립토 워리어즈와 코나 코인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사진=크립토워리어즈 제공

 

 

크립토워리어즈(Crypto WarrioZ)가 코나 코인(Cona Coin)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블록체인 기반 3D RPG 게임을 지향하는 크립토 워리어즈가 성장형 모금 시스템 A-IEO의 개발사 코나 코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 내용은 크립토워리어즈와 코나가 A-IEO 시스템을 바탕으로 상호간 가상자산 생태계 구축에 도움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 협력을 골자로 한다.

 

양사는 A-IEO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두 기업의 강점을 결합하고 긴밀한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모두가 충족할만한 서비스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라 밝혔다.

 

크립토 워리어즈는 2019년 연말 오픈 베타를 시작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으로 무기, 캐릭터 코스튬, 아이템 랜덤 박스, 던전, 1:1 채굴 대전의 콘텐츠를 앞세워 게임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정식 오픈을 앞두고 하이콘, 매틱 네트워크, 에이치닥과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국 등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 5000여 명 이상을 확보했고, 매틱 네트워크를 통해 인도 진출을 앞두고 있다.

 

코나 코인은 펀드레이징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Cryptocurrency Offering New Alternative를 표방하고 있다.

 

포블 게이트에서 시행 중인 성장형 모금 시스템 A-IEO의 개발사로 당일 매수량을 수치화 해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고 유통량 조절을 위한 가상자산 소각 구조 등을 시스템화 했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반응형

댓글()

유니티, 핑거푸드 인수해 기업 솔루션까지 사업 확대한다

IT|2020. 5. 13. 00:10
728x90
반응형

유니티가 핑거푸드를 인수했다. / 사진=유니티 제공

 

유니티엔진의 개발회사 유니티(Unity)3D 기술 기업 솔루션 업체 핑거푸드(Finger Food)를 인수하고 사업 영역 확장에 나선다.

 

유니티는 실시간 3D 환경을 구현하는 유니티 엔진(Unity Engine)을 개발하는 글로벌 개발기업으로 3D 시장 공략을 노린 3D 타겟 웹미디어 제작툴 제작사였다.

 

전문적인 게임엔진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고 사용법이 쉬워서 개발자들이 게임 제작에 사용해 게임 엔진으로 방향을 잡고 개발을 진행해 스마트폰 게임의 태동기에 시장을 선점했다.

 

유니티 엔진은 현재 BMW, 피아트 크라이슬러 그룹(FCA Group), 다임러(Daimler), 스칸스카(Skanska), 젠슬러(Gensler),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등 글로벌 기업의 생산성 및 협업 효율성 향상에 사용되고 있다.

 

핑거푸드는 유니티 3D 기술을 기업 솔루션으로 제공해 로우스(Lowe’s), 엔브리지(Enbridge), 소프트뱅크 로보틱스(Softbank Robotics) 등에 AI(인공지능),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로봇 공학 분야 3D 솔루션을 제공했다.

 

AEC(건축, 엔지니어, 건설)업계에서도 글로벌 상위 50개 기업의 절반 이상과 10대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가 유니티의 실시간 3D 기술을 활용 중이다.

 

유니티와 핑거푸드는 기존 고객을 포함해 내부 인프라나 전문 기술 부족으로 3D 기술을 적용하지 못하는 기업들에게 기업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업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하드웨어가 고사양화 되면서 기존 게임엔진 시장이 언리얼 엔진이 시장에서 점유율을 치고 들어오면서 생각해낸 타계책으로 볼 수 있다.

 

인수 이후에 200명 이상의 핑거푸드 임직원들은 3D 솔루션을 담당하는 부서인 유니티 인더스트리얼(Unity Industrial)로 이직해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라이언 패터슨(Ryan Peterson) 핑거푸드 CEO이번 인수를 통해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핑거푸드가 유니티가 보유한 대규모 엔지니어링 팀과 함께 협업할 수 있게 됐다고 인수 의미를 설명했다.

 

데이브 로즈(Dave Rhodes) 유니티 솔루션 부문 수석 부사장은 유니티는 지난 2년간 게임 개발용으로 알려진 유니티 엔진의 실시간 3D 기술을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자동차, 운송, 건축 등에 적용해 기존의 워크플로우와 비즈니스를 혁신해 왔다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 3D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해 온 핑거푸드 인수를 발판으로 실시간 3D 기술이 모든 산업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엘에스웨어, ‘옴니가드 UAC’ 국제표준인증 획득

IT|2020. 5. 12. 02:02
728x90
반응형

옴니가드

 

엘에스웨어(LSware)가 서버접근제어솔루션 옴니가드 UACCC인증 EAL3을 획득했다.

 

정보보호 소프트웨어 기업 엘에스웨어는 자사의 서버접근제어솔루션 옴니가드 UACIT 보안인증사무국(ITSCC) 국제공통평가기준(CC인증) EAL3을 획득했다.

 

엘에스웨어는 2018년 철탑산업훈장을 수여받고, 삼성, LG, 신한금융지주를 비롯해 국내 대기업들을 비롯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Bithumb) 등 다앙햔 기업들을 클라이언트로 두고 있다.

 

옴니가드는 계정관리, 권한관리, 접근제어, 명렁어관리, 세션로깅, 감사추적 등 기느응ㄹ 제공하는 통합서버 보안제품이다.

 

제품군은 UPV, UAC, UCC 3가지 모듈로 제공되고 소비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IT 보안인증 사무국에서 인증하는 CC인증은 보안기능을 가진 정보보호제품이 안정성과 신뢰성을 공인 평가기관에서 평가받았다는 결과물이다.

 

엘에스웨어는 옴니가드 UAC CC인증 획득에 앞서 개별 모듈에 대한 GS인증을 획득, 조달등록까지 완료해 공공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20197월에는 인도네시아 국영 인증기업 수코핀도(SUCOFINDO)와 공급파트너 계약을 체결, 하반기부터 가시적인 성과를 내 연내 약 20억원 수출을 올릴 계획이다.

 

또한, 엘에스웨어는 오픈소스 취약점 검증 솔루션 포스가드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반 오픈소스 검증 프로젝트 아이즈 프로토콜을 진행 중에 있다.

반응형

댓글()

리눅스 재단, 디지털 정보보호 재단 ToIP 만든다.

IT|2020. 5. 10. 17:55
728x90
반응형

ToIP 재단

 

지난 5일 리눅스(Linux) 재단이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ToIP(Trust Over IP) 재단을 출범했다.

 

ToIP에는 글로벌 신용카드 회사 마스터카드(Mastercard)IT 컨설팅 기업 엑센츄어(Accenture)를 포함해 17개 기업이 회원으로 합류헀다.

 

리눅스 재단이 ToIP 재단을 만든 데에는 사물인터넷(IoT),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인공지능(AI) 등을 포함해 디지털화되는 기업 환경에서 디지털 자산 및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시대에서 세계적인 표준을 마련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ToIP는 국제 웹 표준 단체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표준에 맞는 디지털 ID 모델을 사용하여 소비자, 기업 및 정부가 디지털 상 신뢰를 개선하며 모든 형태의 ID를 온라인으로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운영은 리눅스 재단의 개방형 거버넌스 모델을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협업을 지원하는 중립 포럼에서 거버넌스 표준을 발전시키는 방식을 채택했다.

 

ToIP는 실무 영역, 거버넌스 영역, 유용성 영역, 생태계 영역의 4가지 영역을 설치한다.

 

실무 와 거버넌스 영역에서는 ToIP의 기술 및 거버넌스 구축과 강화에 중점을 둔 활동을 한다.

 

유용성과 생태계 영역은 ToIP의 네트워크 유용성과 디지털 상 신뢰성 확보를 위한 생태계 시스템 개발에 협력하는 커뮤니티 역할을 수행한다.

 

ToIP 재단은 처음에 4 개의 실무 그룹을 주최합니다. 기술 스택 실무 그룹과 거버넌스 스택 실무 그룹은 각각 ToIP 스택의 기술 및 거버넌스 절반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Utility Foundry 워킹 그룹과 Ecosystem Foundry 워킹 그룹은 ToIP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전체 ToIP 디지털 신뢰 에코 시스템 개발을 위해 협력하려는 프로젝트를위한 실무 커뮤니티 역할을합니다.

 

리눅스 재단의 짐 젬린(Jim Zemlin) 이사는 “ToIP재단은 본래 인터넷 모델에서 놓쳤던 '디지털 트러스트 레이어'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이는 인류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촉발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반응형

댓글()

삼성 SDS, 블록체인 트랜잭션 특허 내놨다

IT|2020. 5. 10. 16:03
728x90
반응형

삼성 블록체인 특허 내용

  

지난 6일 삼성 SDS가 출원한 블록체인 기술 특허가 공개됐다.

 

삼성 SDS201810월 출원 신청한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대하여 배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라는 이름의 블록체인 기술특허가 등록이 완료됐다.

 

특허에 따르면, 배치 프로세싱 장치는 복수의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기능을 향상하고, 트랜잭션 처리 상황에 따라 배치 사이즈의 설정 값을 조정해 배치 프로세싱에 따른 트랜잭션 처리 지연, 처리 실패 리스크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세싱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삼성 SDS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인 넥스레저 유니버설(Nexledger Universal)을 내세워 프로젝를 진행중이다.

 

또한, 블록체인 관련 특허를 50개 이상을 국내외에서 출원 중에 있다.

 

2018년도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ID 관리 방법,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동작방법, 결제 처리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동작방법, 전자 화폐 자동 충전 방법 및 시스템, 실시간 거래 처리 및 시스템, 거래 확정 신뢰도 산출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이라는 7건의 블록체인 관련 특허롤 공개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