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전기차 시장 점유율 4위 달성

경제|2020. 11. 27. 23:00
728x90
반응형

현대차 프로페시 콘셉트 /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전기차 시장 4위를 달성했다.

 

지난 26일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은 SNE 리서치의 발표 자료에서 현대기아차는 20209월까지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13만 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점유율 7.2%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0.7%의 판매량이 늘어났으며 점유율은 5.7%에서 1.5%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순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판매대수가 통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니로EV와 코나EV, 시드 PHEV, 포터2 일렉트릭 전기트럭 등 모델이 판매 호조를 기록했다.

 

보고서에서는 현대기아차는 유럽 시장이 1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도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어 점유율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잔존가치와 가격 경쟁력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전기차 시장내 입지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봤다.

 

SNE 리서치 자료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는 테슬라가 차지했다.

 

테슬라는 316000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17.5%를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한 수치다.

 

폭스바겐은 233,000대를 판매하며, 2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185% 판매량이 늘었다.

 

아우디 E-트론 EV, 폭스바겐 파사트 GTE 등의 판매량이 급증했다.

 

르노/닛산/미쓰비시는 르노 조에 판매가 호조를 보였지만 주력 모델인 닛산 리프와 미쓰비시 아웃랜더 PHEV 판매가 줄면서 총 판매량 14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했다. 점유율도 9.5%에서 8.2%로 내려갔다. BMW그룹은 올해 6.8%로 점유율을 0.1% 올렸지만 현대기아차에 밀려 5위를 기록했다.

 

다임러그룹은 메르세데스 벤츠 A클래스 PHEVGLC클래스 PHEV, EQC 등의 판매가 172.8% 급증하면서 점유율을 1.9%에서 4.8%로 늘렸고 순위도 16위에서 8위로 올랐다.

 

PSA그룹은 푸조 e-208, 오펠 코르사 등의 판매 급증에 힘입어 29위에서 10위로 올랐고, GM그룹은 훙광 미니 EV 등 중국 모델 판매 증가로 9위에서 6위로 올라섰다.

 

반면, 지리그룹과 BYD그룹은 지난 상반기 중국 전기차 시장이 위축된 데 따라 판매량이 각각 7.4%, 48.2% 감소한 87,000, 86,000대에 그쳤다.

 

반응형

댓글()

일본에서 추위에 강한 ‘분자 결정 전해질’ 개발

국제|2020. 11. 26. 09:22
728x90
반응형

리튬 이온 배터리 / 사진=삼성 SDI 제공

 

일본 시즈오카 대학과 도쿄 공업대학 연구팀이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 전해질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분자 결정을 개발했다.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두 대학 연구팀은 낮은 온도에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기 분자 결정을 개발해 영하 이하의 겨울철 최저 기온이나 한랭지역에서도 전기차를 운용할 수 있게 됐따.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고체로 된 2차 전지다.

 

전해질이 불연성 고체이기 때문에 발화 가능성이 낮아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해질은 액체로 에너지 효율이 좋지만 공기와 접촉하면 발화 위험이 있어 전기차가 사고 이후 화재 등 안전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와 같은 무기 화합물이나 플리머 등 유기재를 활용한 고체 전해질을 개발하고 있지만 소재가 단단해 가공이 힘들고, 기술적으로 이온전도성과 전해질에 적합한 성형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실용적이지 않다.

 

두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전해질은 상온에서 기존에 개발된 분자 결정 전해질과 최대치가 같지만 영하 20도에서는 전도율이 기존 전해질의 100배에 달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전해질은 추운 지역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어 순수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재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조 공정은 리튬비스마이드와 석시노나이트릴을 가열한 이후 상온까지 냉각하면 단결정을 얻을 수 있다.

 

단결정을 가열하면 액체 상태로 돌아가고 다시 냉각하면 결정이 된다. 액체처럼 배터리를 만들 수 있고 배터리로 사용할 때도 고체로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

GM, 5년 30조원을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투자한다

국제|2020. 11. 21. 06:16
728x90
반응형

제너럴 모터스

 

글로벌 자동차 기업인 GM5년간 3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감행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제네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가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자동차 시장의 선두에 서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감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크라이슬러, 포드와 함께 미국 자동차시장 빅3로 손꼽히는 GM이지만, 자동차 시장의 선두주자인 테슬라의 시가총액과 비교했을 때, GM610억 달러로 테슬라의 4769억 달러와 비교하면 13%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 3GM은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차 부분에 200억 달러(한화 약 30699억 원)의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투자액은 270억 달러(한화 약 30699억 원)으로 약 35%를 더 늘렸다.

 

GM은 투자를 확대하면서 전기차 신종 모델을 30여개 출시 계획도 밝혔다. 지난 3월에 12개보다 18개 더 추가된 것이다.

 

캐딜락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전기차 리릭 역시 당초 예정보다 9개월 이른 2022년 초에 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판매 계획 역시 2025년까지 100만대로 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GM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전체의 40%로 높이겠다는 계획과 함께 차량용 배터리 가격 역시 쉐보레 볼트의 배터리 가격의 60%까지 하락할 것으로 설명했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GM은 오랫동안 자동차 제조 및 판매 분야에 강점이 있는 만큼 테슬라를 따라잡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 자본구조 변화를 열어두고 있다며 전기차 부문의 분사 가능성도 시사했다.

반응형

댓글()

생산에 들어간 상하이 MEB 공장, 중국에서 본격화되는 폭스바겐 VS 테슬라

국제|2020. 11. 11. 03:01
728x90
반응형

폭스바겐 상하이 MEB 공장

 

폭스바겐 상하이 공장 생산 시작

 

폭스바겐 중국 법인이 상하이에 건설한 전기차 공장이 생산에 들어간다.

 

비아이뉴스에 따르면, 폭스바겐 그룹의 중국 법인 산하에 SAIC-폭스바겐의 상하이 공장이 공사를 마무리하고 전기자동차 플랫폼 MEB(Modular Electric Drive)의 규격에 따른 생산을 시작했다.

 

상하이 공장은 40가 넘는 면적을 보유하고 총 170억 위안(한화 약 28796억 원)이 투자됐다고 알려졌으며, 연간 생산량은 30만대로 추정된다.

 

생산기기와 생산품 간에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IoT)이 갖추어져 있고 독일 정부가 제시한 인더스트리 4.0(Industry 4.)이 적용된 표준 로봇 1400여 대, 인공지능증강현실가상현실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됐다.

 

현재까지 MEB 플랫폼 개발에 70억 달러(한화 약 79352억 원)을 투자한 폭스바겐 그룹은 향후 5년동안 전동화 전환을 위해 500억 달러(한화 약 5585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폭스바겐 그룹의 전기자동차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중국 시장을 선점한 테슬라와의 접전도 예상된다.

 

테슬라 상하이 기가팩토리

중국시장에서 충돌하는 폭스바겐 VS 테슬라

 

지난 1027일 중국 정부가 현재 자동차 생산의 5%를 차지하는 신에너지차 비중을 2025년까지 20%, 2030년까지 40%, 2035년까지 50%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은 전통 자동차 제조업체는 물론 전기차 스타트업이 반드시 선점해야 중요 시장이다.

 

중국 시장을 현재 선점한 곳은 전기자동차의 대명사인 테슬라다.

 

테슬라는 20191월 상하이 기가팩토리를 건설해 연간 50만대의 생산이 가능한 규모를 갖췄고 2019년 말에 15만 대를 고객에게 인도했다.

 

20201~9월 기간 중국 시장의 전기차 누적 판매량은 78968대로 중국 전체 전기차 판매량의 16%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 10월에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한 보급형 세단 모델3’ 1차분 물량 7천여 대를 유럽 12개국에 수출하기도 했다.

반응형

댓글()

두산솔루스, 헝가리 제2공장 증설로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 '박차’

국제|2020. 11. 5. 01:53
728x90
반응형

두산솔루스 헝가리 공장 / 사진=두산솔루스 제공

 

두산솔루스 헝가리 법인이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에 다시 박차를 가한다.

 

헝가리 전지박에 법인과 생산공장을 둔 두산솔루스는 270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과 연간 1.5만톤의 추가 증설 계획을 공시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면서 공격적인 투자로 현지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한 것이다.

 

헝가리 정부와 두산솔루스 헝가리 법인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전지박 공장의 추가 증설 투자와 협락 방안을 공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헝가리 페테르 시야르토(Péter Szijjártó) 외무부장관은 기자회견장에서 두산솔루스의 투자 계획을 환영하면서 두산솔루스의 투자로 헝가리가 유럽 전기차 산업 선도국에 가까워지고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점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두산솔루스 이윤석 대표이사는 추가 투자는 헝가리 정부의 적극적 투자유치 정책 덕분이다. 헝가리 공장이 유럽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생산거점이 될 수 있도록 헝가리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두산솔루스가 제2공장을 증설하게 되면 200개의 새로운 일자리 생길 것으로 보인다.

 

헝가리 정부는 2020년 상반기에 두산솔루스의 헝가리 전지박공장에 1단계 양산체계 구축과 건축에 인허가를 간소화해주며 340억 원 규모의 보조금 등을 지원했다.

 

또한 유럽연합(EU)의 집행위원회 승인을 받는다면 제 2공장 증설 투자에 대한 보조금도 지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이베르드롤라-볼보, 스페인에서 전기차 인프라 선점 나선다

국제|2020. 10. 22. 04:13
728x90
반응형

사진=이베르드롤라 제공

 

이베르드롤라와 볼보가 스페인에서 전기차 인프라 확추에 나선다.

 

스페인의 빌바오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전력회사 이베르드롤라(Iberdrola)와 볼보 카 에스파냐(Volvo Car España)는 전기차 충전 솔루션을 공급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속가능한 모빌리티를 촉진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한 양 사는 이베르드롤라와 자회사인 월박스(Wallbox)가 볼보(Volvo)의 충전소 공급 및 전용 또는 공유 차고 설치를 포함한 공급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베르드롤라의 고객들은 5 EURO1000km 주행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요금제를 제시받고 이는 기존 디젤이나 휘발유 요금에 비해 10배 가량 저렴하다. 또한, 이베르드롤라의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6개월 무료 충전의 혜택도 포함됐다.

 

볼보의 충전제품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재생가능 원산지(GoO)를 보증하는 인증서를 이용해 전기차 배터리 충전도 가능해진다.

 

충전소 이용시 이베르드롤라 공용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소 위치를 확인하고 예약과 결제까지 이루어진다.

 

현재 이베르드롤라는 스페인의 정부 부처를 비롯해 기관 및 회사, 전기차 딜러 등 40개 이상의 인프라 구축 계약을 체결해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페인 기업 중 최초로 The Climate GroupEV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하기도 하는 등 친환경 자동차 기조를 펼치는 중이다.

 

이베르드롤라는 탈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으로 수송 전기화를 발전 동력으로 삼고 있다.

 

이베르드롤라는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확대하기 위해 15000만 유로 규모의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주요 고속도로를 포함 도시 및 가정에 약 15만개의 충전소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인도네시아 13조 국영 EV 합작사업에 LG화학이 뛰어들었다

산업|2020. 10. 20. 23:15
728x90
반응형

LG화학 난징 배터리 공장 /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CATL과 함께 인도네시아 국영 EV 제조 사업에 참여한다.

 

자카르타 글로브(Jakarta Globe)는 한국 LG화학과 중국 CATL 2개 기업이 인도네시아의 전기자동차(EV) 전지 제조공장 합작투자 사업에 참여한다고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국영광물회사 MIND ID(Mining Industry Indonesia), 니켈광산 ANTAM(Aneka Tambang), 국영전력 PLN(Perusahan Listrik Negara)과 국영석유 페르타미나(Pertamina) 등이다.

 

설립 예정인 기업은 인도네시아 배터리(Indonesia Baterai)’로서 인도네시아 국영광산의 지주사인 아사한 알루미늄(Asahan Alumunium)에서 설립하는 합작투자회사다.

 

화학제품과 광물을 비롯해 배터리 전지 제품과 중고 배터리 재활용 사업 등 다각화된 사업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원료인 니켈 전 세계 매장량의 30%로 이를 무기로 EV 배터리 제조사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MIND ID는 원료공급을, PLN이 제품유통을 담당하고 페르타미나는 제조 과정의 일부를 맡게 된다.

 

LG화학은 니켈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

 

오리아스 페트루스 모이닥 MIND ID의 대표는 “LG화학과 CATL과 인도네시아 배터리 컨소시엄을 위한 2개의 프로젝트가 이미 계획돼 있다. 2개의 프로젝트에 총 120억 달러(137520억 원)가 투입된다고 밝혔다.

 

오리아스 대표는 공장의 건설기간을 2~3, 건설 후보지로는 술라웨시주, 말루쿠주 할마헤라, 파푸아주 등을 꼽았다.

반응형

댓글()

[보도자료] ‘현대자동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 기공식

국제|2020. 10. 16. 07:22
728x90
반응형

‘현대자동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 조감도 /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인간 중심의 미래 모빌리티 가치사슬(밸류체인) 혁신을 위한 ‘현대자동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yundai Motor Group Innovation Center in Singapore : 이하 HMGICS)’ 건립을 본격화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3일(화) 현대·기아자동차 남양연구소와 싱가포르 서부 주롱(Jurong) 지역의 주롱 타운홀에서 HMGICS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기공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양국 행사장을 화상으로 연결하며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HMGICS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 자동차 주문부터 생산, 시승, 인도 및 서비스까지 고객의 자동차 생애주기 가치사슬 전반을 연구하고 실증하는 개방형 혁신 기지(오픈이노베이션 랩)다.


이날 싱가포르에서는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와 안영집 주싱가포르 한국대사, 베 스완 진 경제개발청(EDB)장 등이 참석했고, 한국에서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에릭 테오 주한 싱가포르대사,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등이 자리했다.


기공식은 정 수석부회장의 환영사에 이은 리 총리와 성 장관의 축사 순서로 진행됐다. 이어 주요 참석자들이 터치패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자 건설 부지에 건물이 세워지는 컴퓨터그래픽(CG) 영상이 상영되면서 HMGICS의 출발을 알렸다.


HMGICS는 2022년 말 완공을 목표로 싱가포르 주롱 혁신단지에 부지 4만4천m2(1.3만평), 연면적 9만m2(2.7만평), 지상 7층 규모로 추진된다.


HMGICS에는 건물 옥상에 고속 주행이 가능한 총 길이 620m의 고객 시승용 ‘스카이 트랙’,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이착륙장,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위한 태양광 패널 등이 설치된다. 향후 수소연료전지 등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청정 에너지 사용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건물 내부는 다양한 고객 체험 시설, 연구개발(R&D) 및 사무를 위한 업무 공간, 소규모 제조 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건물 외부는 내부의 수납형 차량 전시 공간을 밖에서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를 적용하는 등 유려하고 유니크한 디자인에 다양한 기능까지 융합해 완공 뒤에는 싱가포르 도심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부각될 전망이다.


리 총리는 축사에서 “HMGICS는 현대자동차그룹에 의미 있는 도약이며 세계 최초의 설비”라며 “향후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싱가포르에 투자하고, 싱가포르 기업과 교육·연구 기관들과 협업할 수 있도록 길을 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리 총리는 “싱가포르는 파리협정에 따라 2040년까지 모든 차를 친환경차로 전환할 계획”이라며 “HMGICS를 통해 싱가포르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 장관은 “그간 한국과 싱가포르 양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경제협력 관계를 공고히 다져 왔다”며 “HMGICS가 양국 경제협력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성 장관은 “그 성공의 열쇠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비전과 싱가포르가 가진 장점을 얼마나 잘 조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부연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환영사에서 “현대자동차그룹은 HMGICS의 비전인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인간 중심의 밸류체인 혁신’을 바탕으로 고객 삶의 질을 높여 나갈 것”이라며 “HMGICS를 통해 구현될 혁신이 우리의 미래를 변화시키고 인류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HMGICS를 통한 인간 중심의 밸류체인 혁신 비전 달성을 위해 현대자동차그룹은 세 가지 전략 방향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우선 인간 중심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일의 가치와 근로자의 존엄성 제고에 나선다. HMGICS는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시스템을 개발해 사람의 창의성이 최대로 발휘되고 인간의 가치가 존중 받는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고객 중심의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을 체계화해 지속가능한 자동차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한다. 고객이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고객 니즈에 최적화된 맞춤형 제품과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역 사회와 인류에 책임감 있는 기업으로서 현대자동차그룹은 미래 세대를 위한 친환경 비전 달성에도 공헌한다. HMGICS는 태양광, 수소 등 깨끗한 친환경 에너지를 확대 적용해 탄소 중립 달성, 자원 보호, 자원 순환 노력도 지속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 조감도 /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 HMGICS, 주문부터 서비스까지 자동차 생애주기 전반 고객 가치사슬 혁신


HMGICS가 지향하는 미래 모빌리티 가치사슬(밸류체인) 혁신의 중심은 고객이다.


현대자동차그룹 고객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자동차를 간단히 계약할 수 있으며 HMGICS는 주문형 생산 기술로 고객이 주문한 사양에 맞춰 즉시 차를 생산한다.


고객은 HMGICS 내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서 자신의 자동차가 생산되는 과정을 직접 관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산이 완료된 자동차는 HMGICS 옥상의 스카이 트랙으로 옮겨지고, 고객은 트랙에서 시승을 해본 뒤 차를 인도받을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고객 중심의 혁신 제조 플랫폼을 개발하고 실증하기 위해 HMGICS 내에 소규모 전기차 시범 생산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보틱스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사람 중심의 지능형 제조 플랫폼을 실증할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시장 변화 및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차종 소규모 생산 시스템을 도입해 이를 연구하고 실증할 계획이다.


HMGICS 내의 물류와 조립 시스템을 고도로 자동화해 인간 중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 환경도 구축한다. 세밀한 작업과 시스템에 대한 통제는 사람이 담당하고, 어렵고 위험한 작업은 로봇이 수행해 안전한 환경을 마련한다.


아울러 현대자동차그룹은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도 발굴하고 검증한다.


렌털, 리스 등 배터리 생애주기 연계 서비스인 ‘BaaS(Battery as a Service)’ 실증을 통해 고객의 전기차 구매 부담 경감 및 사용 편의성 개선 방안도 연구한다.


■ HMGICS, 싱가포르 혁신 생태계와 적극적으로 협업해 시너지 극대화


현대자동차그룹은 싱가포르의 다양한 혁신 생태계와 협업 전략도 펼치며 새롭고 창의적인 시도에 나서는 한편, 글로벌 시장에 전개할 새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HMGICS를 통해 싱가포르 현지 대학, 스타트업, 연구기관 등과의 긴밀한 협업도 추진한다.


세계 유수의 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난양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 등과 공동 연구소를 운영하고 미래 신산업 분야 산학 과제를 수행한다. 싱가포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세부 과제의 선행 연구를 수행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개방형 혁신과 미래 신기술 검증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혁신 비즈니스 및 R&D 부문 핵심 조직과 역량을 HMGICS에 투입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글로벌 혁신 거점 ‘현대 크래들(HYUNDAI CRADLE)’과 인공지능 전담 조직 ‘에어 센터(AIR CENTER)’를 HMGICS와 결합해 개방형 혁신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자동차 이외에도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오토에버, 현대위아, 현대로템, 현대트랜시스 등 현대자동차그룹 그룹사들이 대거 HMGICS에 참여한다.


베 스완 진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장은 “현대자동차그룹은 혁신 기술로 미래 모빌리티 수요에 대응하려고 노력하는 싱가포르의 전략적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 싱가포르, 개방형 혁신 최적 입지… 동남아 시장 신기술의 테스트베드


현대자동차그룹은 개방형 혁신을 통한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이라는 관점에서 싱가포르가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했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물류와 금융, 비즈니스 허브로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 트렌드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외국 문화에 개방적이고 IT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도 높아 동남아 시장 내에서 최고의 신기술 테스트베드로 평가받고 있다.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싱가포르를 동남아 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로 활용하면서 동남아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차량 공유업체 그랩(Grab)의 경우에는 동남아 지역에서 금융, 식품 배달, 택배 배송, 콘텐츠, 디지털 결제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이에 현대자동차그룹은 미래 사업과 기술을 연구하고 실증하는 HMGICS를 싱가포르에 건립함으로써 동남아 내 인지도를 향상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교육열이 높고 교육 시스템이 잘 갖춰져 산업계로 배출되는 우수 인재들이 풍부하다는 것도 싱가포르의 강점이다.


싱가포르는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19년 국가 경쟁력 순위에서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교육, 노동, 혁신 경쟁력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지난해 발표한 ‘2019 세계인재경쟁력순위보고서’에서는 싱가포르가 아시아 지역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2025년까지 국가 전체를 스마트시티로 개발하는 ‘스마트 네이션(Smart Nation)’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등 혁신 기술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산업부지 개발 및 관리를 담당하는 주롱도시공사(JTC)의 탄 분카이 최고경영자(CEO)는 “HMGICS가 들어서는 주롱 혁신단지에 앞으로 더 많은 다국적 대기업이 입주하게 하고, 이들이 서로 간 협업으로 혁신 생태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