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슬란트, 한전 연구과제 사업에 참여

IT|2021. 3. 31. 21:53
728x90
반응형

 

블록체인 기업 헥슬란트가 한국전력기술의 연구과제에 참여한다.

 

엔지니어링 솔루션 개발사 시버리솔루션스가 주관하는 한국전력기술의 ‘Seed형 디지털변환(DX) 중소기업 연구과제는 에너지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획된 기술 개발 사업이다.

 

헥슬란트는 한국전력기술에 원전 기자재 이력 관리를 위해 옥텟 월렛 기술을 제공한다.

 

한국전력기술은 풍력 발전, 해양 에너지, 연료 전지 등 신 재생 에너지 기술을 보유한 국내 에너지 기술회사로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환경 개선 인프라 및 에코 에너지 기반 성장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디지털엔지니어링 및 가동원전 안전성 분야의 신기술 사업이 추진된다.

 

시버리솔루션스 안경익 대표는 한전기술과 협력하여 차세대 에너지산업을 위한 디지털 전환을 연구할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분야의 새로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헥슬란트 노진우 대표는 데이터 생산 시점부터 실적용 시점까지의 이력 관리는 가장 중요한 보안 요소라며, “블록체인 기반 원전 기자재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투명한 원전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헥슬란트는 블록체인 지갑 솔루션 옥텟 월렛(Octet Wallet)’을 통해 블록체인 환경 구축, 서비스 개발, 키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거래소, 금융기관, 서비스 기업 대상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프리코네’와 ‘아이마스’의 콜라보레이션

IT|2021. 3. 31. 12:47
728x90
반응형

사진=카카오게임즈 제공

사이게임즈(Cy games)가 개발하고 카카오게임즈(Kakao Games)가 퍼블리싱하는 인기 모바일 애니메이션 RPG '프린세스 커넥트!Re:Dvie(:다이브)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다.

 

유명 아이돌 프로듀스 게임인 아이돌 마스터(THE iDOLM@STER)’의 시리즈 중 하나인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는 모바일 리듬 게임으로 아이돌을 목표로하는 소녀들을 육성하는 게임으로 음반, 만화책, 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저변을 넓여온 유명 IP.

 

이번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카카오게임즈는 신규 한정 캐릭터 우즈키(데레마스)’를 추가했다.

 

아군을 지원하고 강력한 범위 공격을 통해 적을 공격하는 캐릭터로 전방 범위 적 전체에 물리 데미지를 입히고 아군 전체의 물리 및 마법 공격력을 증가하는 딜포터형 캐릭터다.

 

콜라보레이션 기간동안 특별 스토리 이벤트 스타라이트 프린세스 Re:M@STER!'도 오픈된다.

 

스토리 이벤트를 통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인 우즈키(데레마스)’, ‘미오(데레마스)’, ‘(데레마스)’를 중심으로 한 특별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다.

 

이벤트 퀘스트와 토벌 이벤트를 통해 미오(데레마스)’를 획득할 수 있으며, ‘미오(데레마스)’치카의 메모리 피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퀘스트에서 경험치 1.5배를 획득이 가능하다.

반응형

댓글()

우마무스메 한국 출시 발표한 사이게임즈 “말딸들이 온다!”

IT|2021. 3. 31. 12:39
728x90
반응형

우마무스메

 

사이게임즈(Cygames)에서 개발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한국어 서비스를 출시한다.

 

지난 29일 오후 9시 우마무스메와 관련된 주제를 소개하는 공식 생방송 프로그램인 파카 라이브 TV Vol5‘가 방송됐다.

 

방송은 2개 파트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우마무스메의 신규 콘텐츠와 한국어와 중걱어 버전 서비스가 공식 발표됐다.

 

일본 경마를 소재한 우마무스메는 경주마를 미소녀로 모에화한 것이 특징으로, 게임 속에는 실제 경마 용어 및 실제 경기 때 말이 주행하는 방식이 반영됐다.

 

실제 경주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이 스토리가 다양한 이벤트에 등장해 게임 유저와 경마 팬들 양쪽의 호평을 받고 있다.

 

장기간 출시 연기된 우마무스메는 2021224일 일본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고 시작과 동시에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보름만에 2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고 매출 100억 엔을 1달 만에 돌파했다.

 

3월 말을 기준으로 일본 모바일 게임 매출 순위에서 페이트 그랜드 오더’, ‘원신’, ‘퍼즐앤드래곤등을 제치고 압도적인 1위를 기록 중이다.

 

한국 게임 커뮤니티의 반응도 압도적이다. 국가 IP 제한이 걸려있음에도 이를 감수하면서 일본어 버전을 플레이 중이며, ‘말딸이라는 별명으로 통하고 있다.

 

사이게임즈의 프린세스 커넥트! Re:Dvie(리다이브)를 퍼블리싱 중인 카카오 게임즈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로 국내 서비스 명을 확정하고 국내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사이게임즈는 20181월 한국에 상표를 출원하면서 우마무스메’, ‘말딸’, ‘망아지처녀’, ‘말소녀등 여러 한국어 이름들을 출원해 한국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고 결국 정식 출시가 결정됐다.

반응형

댓글()

인도네시아에서 NFT 실증사업에 들어가는 아이템버스

IT|2021. 3. 31. 12:28
728x90
반응형

 

아이템버스(ItemVerse)가 레디전 테크놀로지(Redision Teknologi)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에서 실증 사업에 돌입한다.

 

아이템버스는 람다256‘K-NFT’를 공동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인도네시아 결제대행사인 레디전 테크놀로지는 인도네시아 1위 통신사인 텔콤셀(Telkomsel)의 액티베이션 파트너로 모바일 결제사업 부분을 독점하고 있다.

 

16000만 명의 유저를 확보 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주변 8개국 통신사의 지분 30%를 보유한 동남아시아 최대 통신사인 텔콤셀은 게임과 결제에 사용디는 선물카인 풀사(Pulsa)나 전기요금 납부 플랫폼 등 거대 콘텐츠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아이템버스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텔콤셀 애플리케이션 마켓과 레디전 테크놀로지 소유 게임 플랫폼에서 아이템버스 프로젝트 내 모바일게임과 블록체인 게임이 서비스되도록 상호 협력한다.

 

또한 범위를 인도네시아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전체에 프로젝트가 홍보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블록체인 산업과 관련된 모든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아이템버스는 레디전은 인도네시아 텔콤사의 핵심 파트너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시장에 아이템버스의 블록체인 사업이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잡은것이라 생각한다. 레디전 테크놀로지와 함께 아이템버스 플랫폼과 콘텐츠 산업이 끈끈한 협력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네오위즈, 4년만에 ‘노블레스’ 서비스 종료

IT|2021. 3. 31. 11:43
728x90
반응형

노블레스 with Naver Webtoon

 

네오위즈가 웹툰 노블레스를 원작으로 하는 노블레스 with Naver Webtoon'의 서비스를 429일 종료한다고 밝혔다.

 

2017427일 첫 출시한 이후 약 4(1462)만의 서비스 종료다.

 

블루해머가 개발하고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했던 인기 웹툰 노블레스를 기반으로 한 노블레스 with Naver Webtoon'은 모바일 게임으로 제작됐다.

 

원작 팬들과 RPG 이용자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실감 나는 스토리 전개와 매력적인 주인공 캐릭터 구현, 부대 전투를 통한 RPG 재미를 담아내려고 노력했었다.

 

서비스 종료를 발표한 이후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429일 오후 2시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네오위즈는 "계약자님의 소중한 추억이 담긴 노블레스의 서비스가 종료되게 되는 것은 가슴 아프고 힘든 일이었지만, 함께 했던 소중한 추억은 가슴 속 깊이 간직하도록 하겠습니다"라고 전했다.

반응형

댓글()

고려대-다래전략사업화센터, ‘스마트시티 혁신인재 육성 사업’ MOU 체결

IT|2021. 3. 30. 04:01
728x90
반응형

고려대학교 스마트도시학과 오상헌 학과장(좌) 다래전략사업화센터 배순구 대표(우) / 사진=다래전략사업화센터 제공

 

고려대학교와 다래전략사업화센터가 스마트시티 혁신인재 육성 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스마트시티의 교육과 연구 프로그램 개발 및 해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 인재를 양성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협약식에는 고려대학교 스마트도시학과 오상헌 학과장, 다래전략사업화센터 배순구 대표 등 주요 관계자가 참여했다.

 

협약 내용은 교육 및 연구 인력의 교류 및 활용’,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의 발굴 및 추진 지원’, ‘세미나, 강연회, 학술회 등의 공동개최 및 협력’, ‘온라인 및 도서 공동출판 및 협력’, ‘해외 네트워크 연계 상호 지원등이다.

 

또한 향후 관련 프로그램 및 연구 개발을 위한 다양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외 스마트시티 기업 및 지자체와 함께 리빙랩(Living Lab) 사업도 추진한다.

 

고려대학교는 연구 및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해 R&D 역량을 강화하고 사업 운영 체제를 구축한다. 더불어 본교 공과대학과의 협업을 통해 스마트시티 생태계에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기술(AI, ICT, 빅데이터, AR/VR ) 발굴에 나설 방침이다.

 

다래전략사업화센터는 고려대에 IP(지식재산) 컨설팅 및 법률 자문 등을 제공한다. 다년간의 IP-R&D·기술사업화 컨설팅 경험을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 기획 및 개발 업무를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다래전략사업화센터 배순구 대표는 스마티시티 기술 분야의 전문 연구인력을 보유한 고려대학교와 국내 최고 수준의 IP 서비스 역량을 갖춘 다래전략사업화센터가 상호 협력을 통한 한국형 스마트시티 개발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피어테크, 미래에셋펀드와 디지털 자산화 사업 협약 체결

IT|2021. 3. 29. 10:38
728x90
반응형

피어테크와 미래에셋펀드가 부동산 디지털 자산화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 사진=피어테크 제공

 

핀테크 기업 피어테크가 미래에셋펀드와 부동산 자산 등 실물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사업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양 사는 디지털 자산 사업 개발 및 출시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협력한다.

 

핀테크 기업 피어테크는 가상자산 거래소 지닥(GDAC)을 운영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 중 우리펀드서비스와 디지털 자산관리 토탈 플랫폼을 런칭해 기업회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미래에셋펀드는 피어테크가 주관하는 디지털 자산 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해 디지털 자산의 기준가격을 제공하는 등 펀드를 위한 사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는 자산가치가 있는 세상의 모든 것이 디지털 자산화되어 유동성이 증가되고 글로벌하게 유통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거대한 글로벌 트렌드에 맞추어 금융혁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보고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래에셋펀드서비스의 박종호 대표는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앞으로 제도권 내에서 디지털 자산이 많이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미래에셋펀드서비스도 계속해서 경쟁력을 확보해나가는데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KG이니시스, 글로벌 신용카드 데이터 보안인증 PCI-DSS V3.2.1 인증 획득

IT|2021. 3. 28. 06:49
728x90
반응형

KG이니시스

 

KG이니시스가 글로벌 신용카드 데이터 보안 인증 ‘PCI DSS V3.2.1’을 획득했다.

 

PCI DSS(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는 비자, 마스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JCB 등 글로벌 카드사에서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회를 설립해 개발한 데이터 보안 표준 인증이다.

 

해외에서 글로벌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이라면 반드시 갖춰야 할 필수 인증이다.

 

KG이니시스는 지난 2014PCI DSS 인증을 획득한 이래로 8년 연속 인증 획득을 유지하고 있다.

 

KG이니시스는 국내 PCI DSS 인증업체인 로이스를 통해 인증 심사를 받았다.

 

PG서비스, 온오프라인 VAN서비스, POS/KIOSK, 카드 본인인증 등 서비스 영역과 주 전산센터와 가산, 대전 DR센터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보안, 카드소유자 데이터 보호, 취약점 관리, 강력한 접근통제,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테스트, 엄격한 보안정책 등 12개의 주요 영역에서 415개 항목을 엄격히 심사 받아 가장 높은 레벨1 단계 인증을 획득했다.

 

최근 일정 수준의 정보보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은 신사업을 영위하지 못하게 하는 정부 방침에 따라 KG이니시스는 업종 대표기업으로서 각종 인증을 받고 있다.

 

PCI-DSS 인증과, 감독 기관 검사-감독, 대외기관 수검, ISMS인증 등의 국내 인증을 포함해 연간 80여 건 이상의 대외 기관의 수검을 받으며 투명한 정보보호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려 중이다.

 

KG이니시스 정보보호팀은 “KG이니시스는 앞으로도 가장 간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