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KT와 인공지능 서비스 검증 완료 ‘사업화 초읽기’

LG전자와 KT가 인공지능 서비스 사업화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LG전자는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LG 씽큐(LG ThinQ) 홈’에서 LG전자의 인공지능 플랫폼 ‘LG 씽큐’와 KT의 인공지능 플랫폼 ‘기가지니’를 연동하는 검증 작업을 완료했다.
이번 인증은 대한민국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원팀’에서 거둔 첫 성과다.
LG전자는 KT와 LG씽큐 플랫폼의 생태계를 넓히기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펼치고 있다.
각 사의 인공지능 플랫폼이 연동되어 공동으로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2개의 플랫폼이 연동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업화할 방침이다.
고객은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가나 앱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한 개의 기기에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LG전자는 향후 더욱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이 서로 연동된다면 고객들이보다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검증작업에는 스마트홈 솔루션인 ‘스마트미러’를 활용했으며, 스마트미러의 가전제품 제어, 날씨 안내, 길찾기, 일정 관리를 비롯해 주택 내 에너지의 생산, 사용, 저장 등의 관리 시스팀 기능도 제공한다.
스마트미러가 폭넓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통해 집 안의 인공지능 허브 역할을 할 에정이며, 스마트미러 뿐 아니라 가전 등 다양한 제품에서 양사의 인공지능 플랫폼이 연동될 예정이다.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은 “이번 양사의 협업은 AI 원팀의 사업 협력 결과로 나온 첫 결과물로 의미가 크다”며 “KT는 이번 AI 원팀 협력 모델을 다양한 참여기관 및 분야로 확대해 AI 시너지를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LG전자 CTO 박일평 사장은 “양사의 협업을 통해 인공지능이 고객에게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사의 개방화 전략에 기반한 기술 혁신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오픈 파트너십(Open Partnership), 오픈 커넥티비티(Open Connectivity) 등 3대 개방화 전략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6월 국내 인공지능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산학연 협의체인 ‘AI 원팀’에 합류했다. 현재 ‘AI 원팀’은 KT, LG전자, LG유플러스, 현대중공업그룹, 카이스트,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등이 참여하고 있다.
LG전자는 제조회사로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솔루션에 대한 강점을 갖고 있어 다양한 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낸스, 증권형 토큰 첫 타자는 ‘테슬라’ (0) | 2021.04.13 |
---|---|
‘적자 5조’ 의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 철수, OS 업그레이드는 3년 후까지 (0) | 2021.04.13 |
SK텔레콤-국립국어원, AI 한국어 모델 개발한다 (0) | 2021.04.12 |
뉴로핏 아쿠아, 유럽 CE 인증 받았다 (0) | 2021.04.10 |
넥슨컴퓨터박물관, 네포지토리 베타 통해 미출시 게임 전시 (0)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