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5G 청정 통신사’ 명단 발표 'KT'와 'SKT'는 포함 'LG 유플러스'는 제외

국제|2020. 8. 7. 18:09
728x90
반응형

미국 국무부가 지정한 5G 청정통신사 목록 / 사진=미 국무부  홈페이지 캡쳐

 

미국 국무부가 ‘5G 클린 네트워크(5G Clean Networks)’를 발표했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 통신사 화웨이(Hwawei) 통신장비의 사용 금지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미국은 5G 청정 국가 및 전기통신 사업자 명단을 발표했다.

 

한국의 3대 통신사 중 KTSKT는 명단에 포함됐으나 LG 유플러스는 제외됐다.

 

미 국무부가 제시한 기준은 디지털 신뢰 표준프라하 제안이다.

 

미국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는 국무부 요청에 따라 아시아, 유럽, 미국 등 국가 기업과 연구소 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된 그룹을 통해 통신장비업체의 신뢰도 평가 기준을 만들고 이를 디지털 신뢰 표준이라 불렀다.

 

프라하 제안20195월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그리고 통신업 관계자들이 체코의 수도 프라하에서 진행한 회의에서 나온 제안사항이다.

 

미국 국무부는 5G 청정 국가로 영국, 체코, 폴란드, 스웨덴, 에스토니아, 루마니아, 덴마크, 라트비아, 그리스 등을 지정했다.

 

5G 청정 전기통신 사업자는 모두 27개며, AT&T, 버라이즌, 스프린트 등이 포함됐고 한국에는 SK 텔레콤과 KT가 포함됐다.

 

LG U+는 전국 5G 네트워크 장비 중 약 30%를 화웨이 제품으로 설치한 LG U+는 명단에서 제외됐다.

 

이는 20204월에 미국 국무장관 마이크 폼페이오(Michael Richard "Mike" Pompe)가 선포한 ‘5G 클린 패스(5G Clean Path)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5G 클린 패스는 미국 외교시설과 연결된 5G 통신 경로는 신뢰할 수 없는 공급업체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내용으로 대표적으로 화웨이의 통신장비를 타겟으로 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전자문서 관리 플랫폼 ‘KT 페이퍼리스’ 출시, “책상에서 서류가 사라진다”

IT|2020. 3. 31. 02:11
728x90
반응형

KT 페이퍼리스 / 사진=KT 제공

 

 

지난 30KT가 전자문서 통합 플랫폼 ‘KT 페이퍼리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KT 페이퍼리스는 '전자계약', '전자등기', '전자문서보관'3가지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계약은 기존 계약서 양식에 본인인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계약을 맺으면 시점확(TSA) 서비스를 통해 위변조를 확인한 후 동일한 양식 계약 또는 다량 계약 체결시 엑셀 파일을 이용해 최대 5000건의 계약서를 만들 수 있다.

 

전자등기KT가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 지정된 점을 접목해 우편등기와 동일한 효력을 가지는 모바일 등기 서비스로, 전자서명이 완료된 계약서나 공공기관의 각종 고지서와 통지서를 송수신하고 열람 시간 확인ᄁᆞ지 가능한 전자등기를 발송한다.

 

전자문서보관은 종이문서를 전자화하고, 생성된 전자문서를 블록체인에 원본을 보관하는 서비스로 암호화한 해시값과 원본을 저장해 문서 분실 또는 증빙 시 활용할 수 있다.

 

차후에는 전자문서 뿐 아니라 전자증명과 전자영수증 등 다양한 전자문서 기반 서비스도 계획 중이다.

 

KT 페이퍼리스는 별도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 없이 KT 페이퍼리스 포털에서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고 이용료는 월정액과 개별이용에서 선택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시작한 기념으로 내달 30일까지 가입하는 가입자에게 1개월 전자계약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포털에서는 고객 서비스를 위해 AI 고객센터와 챗봇을 운영하고 KT IDC에서 전담인력이 24시간 365일 관리한다.

 

윤동식 KT Cloud/DX사업단장 전무는 페이퍼리스 서비스가 기업과 개인사업자 문서관리 업무를 줄여 비용절감은 물론 업무 프로세스까지 변화시킬 것이다. KT는 혁신 ICT를 바탕으로 업무 효율을 높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를 지속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금융위원회 신규 7건의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글로벌 주식 투자부터 모바일상품권까지'

정부시책|2020. 3. 29. 20:46
728x90
반응형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 신규7건

지난 18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를 통해 7건의 혁신금융서비스가 신규로 지정되면서 혁신금융서비스가 총 93건이 됐다.

 

혁신금융서비스는 금융혁신지원특별법에 따라 금융규제 샌드박스(금융서비스 시범 운영 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신규로 지정된 7건의 서비스는 신한금융투자의 글로벌 주식 스탁백’, 나이스평가정보와 통신3사의 보이스피싱 방지 서비스’, KT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플랫폼’,엘핀의 유심기반 출금 동의’, 현대해상의 기업 보험 온라인 간편가입’, SK플래닛과 오라인포의 온라인 대출 비교모집 플랫폼이다.

 

통신3사와 나이스평가정보가 내놓은 보이스피싱 방지 서비스는 8월에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통신사의 통신정보와 신용정보회사의 금융정보를 활용해 보이스피싱 등 여부를 판별하는 서비스다.

 

신한금융투자의 마일리지포인트 해외주식 소액투자 서비스인 글로벌 주식 스탁백은 오는 10월에 출시 예정이다. 제휴사의 마일리지를 모아 해외 주식을 투자할 수 있게 된다.

 

KT의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서비스는 이미 부산시와 제휴해 부산 지역사랑상품권인 부산동백전을 모바일 형태로 발행해 실제 부산시 내 가맹점에서 사용 중이다.

 

오는 9월에 출시 예정인 엘핀의 유심 활용 출금동의 서비스는 전자상거래를 위해 출금계좌 등록 시 유심을 활용하는 서비스다. 기존의 출금동의에 사용되는 비용을 50%로 절감하고 절차도 간소화해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현대해상은 오는 6월까지 법인 및 개인사업자가 기업성 보험 가입 시 모바일을 통해 간편하게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SK플래닛과 오라인포의 온라인 대출비교·모집 플랫폼이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 전자상거래 정보 등을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 대출조건을 제시하는 서비스를 8월 중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