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Starbucks), 커피 프렌차이즈에서 글로벌 테크핀 기업으로

경제|2020. 6. 9. 03:58
728x90
반응형

스타벅스

 

은행보다 현금이 많은 스타벅스

 

글로벌 커피 프렌차이즈 스타벅스 주식회사(Starbucks Corporation)는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 규모의 커피 프렌차이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벅스가 은행보다도 더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공공연히 알려진 비밀이다.

 

현금 없는 매장으로 간편결제를 장려하는 스타벅스는 어떻게 은행보다 많은 현금을 보유하게 됐을까?

 

스타벅스의 선불식 카드와 사이렌 오더 등 선불식 충전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이 바로 현금 보유의 비밀이다.

 

이연수익이란 회사가 수입을 받기 전에 얻은 수익으로 회계상 부채로 기록되며, 미지급 수익 또는 선수수익이라고도 부른다. 이연수익을 수령한 후 회사는 미래에 고객에게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2016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마켓 인텔리전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6년도 회계연도 2분기에는 스타벅스 결제의 41%가 스타벅스 카드였고 21%가 스타벅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로 2013년 기준 150억 원의 선수수익이 있었고 2017년에는 700억 원, 2018년에는 880억까지 늘어났다.

 

특히 사이렌오더와 드라이빙스루(DT)가 선수수익을 만드는데 큰 공헌을 해 20161400만건을 기록한 후 20173500만건 20186600만건까지 이용이 늘었고, 스타벅스 오더의 20%가 사이렌오더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드라이빙스루 매장 이용 고객의 40%가 드라이빙스룰 가입했고, 매년 100억 원 단위로 증가하던 선수금은 2018년에 250억원으로 늘어나는 쾌거를 이뤘다.

 

2020년 스타벅스 선불카드

 

기업 현금은 늘었지만,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한계도 명확한 선수수익

 

스타벅스의 선수수익은 스타벅스의 운영을 위한 자금으로 주로 사용되어 차입금 의존도를 감소시키고 운영의 부담을 덜어줬다.

 

선수수익은 이자가 없기 때문에 차입금의 이자 부담을 추가로 줄여주었다.

 

2017년 이후 차입은 크게 감소해 2015년 누적선수수익 350억 일 때 초단기차입금이 11500억 원에서 20181000억 원의 누적 선수수익일 시 단기차입금이 2300억으로 줄어들었고, 기말 단기차입금은 2017년 이후로 0원이다.

 

하지만, 단순한 선수수익이 현금으로 상환되는 것은 자금 유용성을 줄이고 상환 기간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을 기준으로 봤을 때, 스타벅스의 선수수익은 전자금융거래법 안에서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규정된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은 환금성, 환급성에 제한이 있고 특정상품이나 특정 가맹점에 사용되는 것으로 규율대상은 아니지만 금융위원회에 등록해야하는 대상으로 스타벅스 카드는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취급된다.

 

현행법상 이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을 운용하는 방법은 부정확하기 때문에 운용할 방법이 없다. 은행에 예치라도 하면 이자를 받을 수 있겠지만, 이 조차도 요원하다.

 

스타벅스가 사이렌오더의 빅데이터와 연계해 마케팅에 나서는 점이나 드라이빙스루나 사이렌오더를 통해 선불카드의 결제가 융합된 점을 봤을 때 행보는 카카오페이와 매우 유사하지만, 카카오페이는 자신들만의 해답을 도출했다.

 

바로 증권사다. 카카오머니를 운영하는 카카오페이는 해답으로 바로투자증권을 인수해 CMA 계좌를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아르헨티나 스타벅스 커피 은행

 

테크핀 기업을 준비하는 스타벅스

 

스타벅스도 카카오페이와 같은 길은 아니지만 자신만의 해법을 내기 위해 준비 중이다. 그 결과가 모든 금융사들의 관심을 받으면서도 견제를 받게 되는 테크핀 기업화다.

 

스타벅스는 2019년에 오픈한 벡트(Bakkt)의 주요 주주 중 하나다.

 

뉴욕증권거래소의 모회사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ICE)가 만든 비트코인 선물 거래소인 벡트를 통해 스타벅스 결제에 비트코인(Bitcoin)이 도입될 것이라는 발표가 ICE에서 나왔고, 결제 외에도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 런칭 계획도 나왔다.

 

이는 스타벅스의 약점인 호환성을 보완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스타벅스는 진출한 국가별로 선불 카드를 운영중이지만, 국가별로 카드가 호환되지 않는다. 국내법상으로는 외환법을 위반할 가능성도 높은데, 이를 벡트를 통해 비트코인으로 우회할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또한, 2018년에 아르헨티나에서 스타벅스 뱅크(Starbucks Bank)를 런칭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은행인 방코 갈리시아(Banco Galicia)와 파트너십을 맺고 은행업무를 볼 수 있는 창구를 런칭해 한정된 기회의 금융서비스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반응형

댓글()

신한‧하나, ‘아프리카 수출입은행 신디케이션론’ 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선다

경제|2020. 6. 8. 22:43
728x90
반응형

사진=신한금융그룹 제공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신디케이션론에 공동 참여한다.

 

지난 4일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10억 달러(한화 약 12010억 원) 규모의 아프리카 수출입은행(Afrexim Bank) 신디케이션론에 참여하는 금융약정을 체결했다.

 

아프리카 수출입은행은 아프리카 대륙에 무역금융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UN산하의 다국적 금융기관이다.

 

54개 아프리카 국가 중 51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무역금융 관련 외화 유동성을 지원한다.

 

신디케이션론은 다수의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차관단이 공통의 조건으로 차주에게 일정액을 융자하는 중장기 대출방식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의 한 종류다.

 

신한은행은 투자은행(IB) 거래 경력을 인정받아 20189월 아프리카 수출입은행 신디케이션론을 주선했고, 이번 금융약정에도 초청을 받게 됐다.

 

앞서 영국 해상풍력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나, 영국독일 광통신 프로젝트 파이낸싱, 영국스페인 상업용부동산 금융, 유럽 현지기업 인수금융 및 금융기관 신디케이션 론 등의 경력을 인정받았다.

 

하나은행은 또한 다양한 거래 경력을 바탕으로 2014년에 신디케이션론에 참석하는 등 관계를 유지해왔다.

 

미국 가스복합화력발전 프로젝트 주선, 영국 해상풍력 리파이낸싱 주선을 비롯해 영국 런던 터널 및 도로 건설 사업 주슨 등에서 경력을 인정받았다.

 

신한은행은 이번 금융약정은 아프리카 수출입은행과 신디케이션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빠른 심사와 의사결정을 통해 성공적으로 이뤄냈다면서 신한금융그룹과 하나금융그룹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첫 번째 협업 사례로 향후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아프리카 금융시장에서의 공동 영업을 심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반응형

댓글()

농촌진흥청, 설문결과 긴급재난지원금 5명 중 3명은 먹걸이에 지출

경제|2020. 6. 8. 13:36
728x90
반응형

농촌진흥청

 

지난 6일 농촌진흥청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5명 중 3명이 긴급재난지원금을 먹거리에 지출한다고 나왔다.

 

소비자 패널 8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아 소비가 늘었다는 응답이 55.9%, 지출 분야에서 농식품 구입과 외식 등에 사용했다는 답변이 59.9%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볼 경우 농식품 구입 36.6%, 외식배달이 22.9%, 의료비 10.9%, 공산품 10.7%, 문화생활 7.2%, 교육비 6.1% 등 순이었다.

 

신선 농산물 구매처는 슈퍼마켓 52.0%로 지난 4월에 34.5%에 비해 17.5% 상승한 수치다.

 

전통시장 이용객들도 18.5%16.2%에서 늘어났으나,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는 대형마트는 15.2%8.2% 하락했고 온라인 쇼핑몰도 5.4%10.9% 하락했다.

 

외식을 했다는 응답도 36.3%4월에 응답한 4.7%보다 7배 증가했고, 배달 이용 역시 4월에 응답한 13.7% 보다 3배 늘어난 37.5%가 이용했다.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육류 소비도 전반적으로 늘어났다. 돼지고기는 44.6%, 한우 구입은 34.4%라고 응답했고 수입 쇠고기는 18.0%라고 답했다. 쌈채류 구입도 늘었다는 응답이 21.3%를 기록했다.

 

과채류 역시 토마토(46.0%), 참외(42.5%), 수박(27.3%) 순으로 구입이 늘었다고 답했으며, 가정 조리 비중은 76.0%에서 66.7%로 감소했다.

 

재난 지원금 소비 역시 40% 미만 사용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절반이 넘는 52.3%로 집계되어 사용기한이 만료되는 8월말까지 소비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농진청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한우와 제철 농산물 소비가 증가하며 농식품 소비를 이끌고 있다새로운 소비양상에 맞춰 소비자가 자주 이용하는 구입처를 고려한 맞춤형 출하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대구시 광공업 생산 20% 하락, ‘3월보다 4배 떨어졌다.’

경제|2020. 6. 7. 23:44
728x90
반응형

사진=동북지방통계청

 

지난 529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4월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9.7%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수출 위축과 제조업 기업들이 가동 중단 사태가 지속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 볼 경우 4월 광공업 생산은 3월과 비교해 6.0% 줄어들었으며, 이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1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대구 광공업, 20% 하락

 

지난 3월 감소폭이 4.7% 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약 4배 이상 커진 수치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부품이 35.3%, 기계장비가 20.4%, 섬유제품이 30.6%의 감소를 기록했다.

 

전 세계 자동차 공장들이 4월에 가동을 중지한 여파로 보인다.

 

4월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대구가 82.3(2015=100)으로 20194월에 비해 14.1% 감소했다.

 

가전제품(10.0%), 음식료품(1.6%) 판매는 늘었고 의복(-33.2%), 화장품(-23.2%), 신발·가방(-16.6%)은 판매가 줄었다.

 

경상북도 광공업 12.1% 감소

 

경상북도 4월 광공업 생산량도 3월 대비 12.1% 감소했다.

 

소매 판매는 3월에 비해 하락 폭이 줄어들었으나, 부진했다.

 

4월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경북은 75.9(2015=100)으로 20194월에 비해 0.9% 감소했다.

 

반응형

댓글()

홍콩에 2톤 수출한 포항 사과, 연말까지 100톤 수출 목표

경제|2020. 6. 6. 14:37
728x90
반응형

사진=포항시 제공

 

 

포항 사과가 홍콩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4일 포항시는 2020년 사과 수출액은 2억 원 가량으로 40톤 물량이 홍콩으로 수출됐다고 밝혔다.

 

포항은 국내 10대 사과 주산지 중 하나로 꼽히 1100ha 면적에서 연간 19000t 이상의 사과를 생산 중으로 서포항지역(기계죽장기북) 사과가 식감이 좋아 동남아 시장에 인기가 높다.

 

2019년에 베트남 하노이로 경북통상을 통해 12.6톤 규모의 포항 사과가 수출됐다.

 

이번 홍콩으로의 수출은 과거에 있었던 단발적 수출이 아닌 매달 꾸준한 수출이 일어난 것으로, 포항 사과 수출 역사에서 역대 최초다.

 

홍콩에 한국 상품을 수출하는 바이어에 포항 사과를 소개했던 포항시는 2019년 출하분이 인기를 끌면서 20203월에는 20여 개 매장을 가진 한인 유통업체와 수출이 성사됐다.

 

포항시는 2020년 연말까지 100톤 정도의 수출량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주훈 포항시 농식품유통과장은 "국내 소비 위축이 심화된 상황에서 거둔 사과 수출 실적은 농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신선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반응형

댓글()

대구 토지공시지가 7.03% 상승, 경북은 평균 4.89%

경제|2020. 6. 5. 15:55
728x90
반응형

사진=대구 제공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대구경북의 토지 공시지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 토지 공시지가는 5.95% 상승했다.

 

1위는 서울의 8.25%, 2위가 7.26%의 광주고 그 뒤에 대구가 위치하고 있다.

 

개별공시지가는 29일부터 629일까지 토지소재지 시··군 민원실,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구광역시, 공시지가 7.03% 상승, 서울, 광주 이어 3번째 상승률

 

대구광역시에 따르면, 202011일 기준 대구 8개 구군의 개별 토지 429986필지(지가 총액 1817500억 원)의 개별공시지가 조사선정 결과 평균 변동률이 7.03%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20198.82% 상승한 것에 비하면 낮은 상승이지만, 꾸준히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대구광역시 내로 봤을 때 수성구가 9.01%로 가장 높고 중구는 8.8%, 남구 7.67%가 높은 상승을 보여줬고 달서구가 5.64%가 가장 낮았다.

 

대구의 상승 요소는 연호 공공주택지구 및 삼덕동 공원구역 내 개발사업 예정, 수성알파시티 조성완료 등과 도시외곽순호나 고속도로 건설, 군마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건축재개발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을 바탕으로 지가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대구 최고 땅값 토지는 법무사회관인 중구 동성로2162번지로 3800, 최저는 헐티재 북측의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산135-2번지 임야로 328원이다.

 

경상북도, 공시지가 4.89%, 전국 평균보다 밑돌아

 

경상북도는 공시지가가 4.89%로 상승하긴 했으나 5.955%의 전국 평균보다 낮은 상승을 기록했다.

 

경상북도는 경북 일주도로 완전개통과 울릉공항 사업 확장으로 울릉군이 16.93%의 상승세를 보였고 10.26%의 군위군, 8.56%의 봉화군, 7.29%의 경산 시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구미시는 경기침체와 부동산 수요 감소로 인해 상승률이 1.27%에 그쳤고 독도는 공시지가가 723749만 원으로 전년 공시지가 6239만 원 대비 9.08% 상승했다.

 

경상북도내 최고 땅값은 포항시 북구 죽도동 597-12번지(개풍약국)1320만원이었고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산169-1번지 임야는 193원으로 가장 낮았다.

반응형

댓글()

세무조사 받는 스타벅스 코리아, 이전가격 세금탈루 의혹

경제|2020. 6. 5. 02:05
728x90
반응형

국세청

 

 

국세청이 스타벅스 코리아에 세무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스타벅스 코리아는 해외 본사와 스타벅스 코리아 사이의 거래에서 이전가격 부풀리기를 통해 세금을 탈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전가격은 해외에 위치한 법인이 원재료나 제품을 거래할 때 적용되는 가격을 뜻한다.

 

해외 법인을 둔 기업들은 지적재산권 사용료나 물품 거래에 비용을 과도하게 책정해 세율이 낮은 역외로 소득을 유출한다는 의혹을 받을 수 있으며, 이번 스타벅스 코리아가 받는 의혹도 동일한 의혹이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스타벅스 본사와 이마트가 지분을 50%씩 보유하고 있고 2019년 약 1400개 매장에서 18696억 원의 매출과 1328억 원의 당기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번 세무조사가 비정기 세무조사인지 정기 세무조사인지는 확실하진 않다. 비정기일 경우 세금 탈루 혐의로 검사를 받을 것이고, 정기라면 2016년 정기 세무조사 이후 4년만에 받는 정기 세무조사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

대구경북 금융기관, 예금은 감소세, 대출은 증가폭이 감소

경제|2020. 6. 4. 02:37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3월 대구경북지역 금융기관 수신 및 여신 동향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3월 예금은 264억 원으로 2월 증가한 62832억 원에서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예금은행 수신은 2월에 6837억 원이었으나 317890억 원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고 정부예산 자금의 감소를 원인으로 분석했다.

 

비은행기관 수신도 21994억원에서 32173억 원으로 바뀌어 자산운용사, 새마을금고, 신탁회사 등을 중심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대구경북 여신도 29097억 원에서 37068억 원으로 증가폭이 감소했다.

 

예금은행 여신은 7963억 원에서 5177억 원으로 증가폭이 줄었으나 공공부문 대출의 감소폭이 확대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비은행기관 여신은 1134억 원에서 1891억으로 증가해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의 대출 증가폭이 커진 영향으로 기업 대출이 증가하고 가계대출이 감소폭이 축소됐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