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도브 월렛, USDT로 안전충당기금 운영 "고객 자산 보호위해 최선"

산업|2020. 6. 26. 11:05
728x90
반응형

도브 월렛(비둘기 지갑)

 

가상자산 거래소 도브 월렛(Dove Wallet)이 안전충당기금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안전충당기금이란 거래소 해킹 등의 다양한 사유로 고객 자산에 피해가 발생할 시 복구와 보상을 위해 조성된 기금을 의미한다.

 

이 외에의 거래소에서 안전충당기금을 운영하는 것은 바이낸스(Binance)과 운영하는 SAFU( Secure Asset Fund for Users)가 대표적이다.

 

실제 바이낸스는 20195월에 해킹이 발생했을 때, 바이낸스는 SAFU를 통해 고객 자산을 충당한 바가 있다.

 

도브 월렛은 달러(USD)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인 테더(USDT)를 통해 안전충당기금을 조성한다.

 

도브 월렛은 보관한 안전충당기금은 다음의 주소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안전충당기금 이더스캔

 

https://etherscan.io/token/0xdac17f958d2ee523a2206206994597c13d831ec7?a=0xd5bea7875e8956cb7b1adcd81aafca4de64e789b

 

도브월렛은 가상자산의 잔고 규모가 10 BTC를 초과할 경우 70% 이상을 반드시 콜드 월렛에 보관하는 콜드 월렛 운영 정책을 비롯해 외부의 잠재적 위험 차단과 기술적 조치, 그리고 정책을 적극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특정 디지털자산의 총 잔고 규모가 10 BTC을 초과할 경우 70% 이상을 반드시 콜드월렛에 보관토록 하는 콜드월렛 운영 정책 등, 비둘기 지갑은 외부로부터의 잠재적 위험 차단을 위한 엄격한 기술적 조치와 정책을 적극 펼쳐나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카카오톡에 가상자산 지갑 ‘클립’ 출시 "카카오톡에서 편리하게 이용 가능"

IT|2020. 6. 3. 10:46
728x90
반응형

사진=그라운드X 제공

 

그라운드X(GroundX)에서 개발한 디지털 자산 지갑 서비스 클립이 출시됐다.

 

카카오(Kakao)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는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을 개발하는 회사로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다.

 

클립은 클레이튼 플랫폼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비앱(BApp)에서 사용되는 가상자산을 보관하고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클립에서는 클레이(Klay), 박스(BOX), 블록체인펫토큰(BPT), 빈즈(BNS), 인슈어리움(ISR), 코즘(COSM), 템코(Temco), 피블(PIB), 픽셀(PXL), 힌트(HINT), 앤트 토큰(ATT)11종 토큰을 지원한다.

 

이들은 모두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을 발행한 프로젝트다.

 

클립은 카카오톡의 프로필 화면에서 더보기를 통해 전체 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하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되어 이용할 수 있다.

 

그라운드X는 클레이튼 기반의 서비스를 선보이고 해외 사용자 확보와 일반 모바일에서도 가상자산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한재선 그라운드X 대표는 "클립은 미래 인터넷 패러다임의 핵심 요소인 디지털 자산을 카카오톡이라는 친숙한 플랫폼상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서비스"라며 "블록체인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어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사용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했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가상자산 거래 경험 설문 결과, 국내는 '초급자' 수준, 남미 이용자들은 '중급' 이상으로 응답

경제|2020. 5. 26. 23:35
728x90
반응형

사진=도브 월렛 제공

 

도브 월렛이(Dove Wallet)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경험 수준을 설문조사한 결과, 많은 사람들이 초보 수준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거래소 도브월렛은 8350명의 전세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스로 평가하는 가상자산 거래 수준의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이들 중 49%가 초급 수준으로 평가했다.

 

2017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가상자산 거래가 자리잡은 것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의 기준을 낮게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급이라고 답한 사용자는 14%, 고급이라고 답한 사용자는 11%, 전문가라고 답한 사용자는 10%였다.

 

전혀 경험이 없다고 답한 사용자도 16%가 나왔다.

 

사진=도브 월렛 제공

 

응답자들의 반응을 국가별로 나눈 결과 대륙별 특성도 나타났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중급 이상으로 평가한 비율이 46%로 전체 사용자 평균 대비 10% 넘는 수치를 나타냈다.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등 남미 국가들도 모두 44%를 기록해, 가상 자산 거래 기능이 많다고 응답했다.

 

설문조사에 대해 김은태 비둘기 지갑 대표는 금융 혜택의 불균형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의 장점이라며 남미 등 열악한 금융 인프라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가상자산 활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응형

댓글()

다날, '다모음'으로 다날 결제 수단 다 모은다

산업|2020. 5. 21. 11:39
728x90
반응형

다날이 간편결제 통합 플랫폼 다모음을 런칭했다.

 

글로벌 휴대폰 결제 기업 다날이 간편결제 통합 플랫폼 다모음을 런칭했다.

 

다모음은 구글 플레이 금융 카테고리에서 누적 다운로드 10만을 돌파하며, 이용자 수를 급속히 확보하는 중이다.

 

다모음에는 가상자산인 페이코인(PCI) 결제와, 선불전자지급수단인 달코인의 결제가 포함됐고, 다날의 결제 수단을 점진적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페이백 서비스도 포함됐다. 다모음 앱으로 결제하면 결제액의 0.5%를 달코인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고, 달코인은 다날의 온라인 가맹점과 페이코인으로 전환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달코인은 이름은 코인이지만 1코인이 1원과 대비되어 사실상 카카오머니와 같은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기존 카드사의 포인트 페이백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박지만 다날 결제사업본부장은 그 동안 휴대폰 결제를 할 때마다 번거로웠던 본인확인 인증 절차를 다모음 앱에서 한번에 해결함과 동시에 포인트 적립과 결제내역 확인까지 가능해졌다휴대폰 및 페이코인 결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추가 사용자 확보를 위해 쇼핑, 리워드, 쿠폰 등의 부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모음은 론칭을 기념해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2천 포인트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반응형

댓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 가상자산 투자 주저의 요인

경제|2020. 5. 21. 04:19
728x90
반응형

도브 월렛이 이용자들에게 디지털자산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큰 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가상자산에 대해 일반 투자자들의 허들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이 1위로 뽑혔다.

 

차일들리가 운영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도브 월렛(Dove Wallet)이 이용자 4622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큰 요인을 묻는 질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위는 46%가 응답한 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고, 2위는 18%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 구매시 요구하는 인증 절차였다.

 

이 외에도 규제와 법령, 과세정책의 불확실성 10%, 높은 변동성 8%, 해킹 등의 보안사고 9%가 장애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교육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거래소나 지갑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한 프로세스와 회원인증 절차에 대한 요구도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브 월렛 김은태 대표는 최근의 특금법 통과 및 과세 본격화 움직임 등 디지털자산에 대한 합법적 테두리가 빠르게 마련되고 있는 만큼, 이젠 다수의 이용자들이 보다 손쉽게 접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업계차원의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비둘기 지갑이 전세계 이용자 4,622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6%디지털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선택했다. 또한 18%의 응답자는 디지털자산을 구매할 시 요구되는 복잡한 인증절차가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도 각종 규제나 법령, 과세정책의 불확실성, 높은 변동성, 해킹 등의 보안사고 등을 디지털자산 보유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으로 꼽은 이용자도 각 10%, 8%, 9%를 기록했다.

반응형

댓글()

[이슬람과 금융] 이슬람 금융과 가상자산, 긍정적으로 변해가는 흐름

경제|2020. 5. 19. 05:00
728x90
반응형

샤리아에서 가상자산은 아직 명확한 율법적 해석이 내려지지 않았다.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가상자산이 전세계적인 열풍을 부르면서, 거대 금융권을 형성한 이슬람에도 가상자산에 대한 이야기가 논의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김동환 조교수는 한국중동학회논총 제 31권 제1호에서 가상화폐에 대한 이슬람 샤리아의 관점이라는 제목의 학술지 논문을 통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슬람의 율법인 샤리아(Shariah)는 대출에 대한 이자(Riba)의 수취를 부당 이득으로 간주해 현대 금융 시스템 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과 대안들이 제시됐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김동환 조교수는 이슬람은 인간이 이윤을 추구하려는 목적의 노동이 자본과 결합하여 이윤을 창출한다고 가르친다. 다시 말해 노동이 투입된 생산활동을 통해서만 이윤은 창출되고 부가 증가한다고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가라르(Gharar)와 리바(Riba)로 본 가상자산

 

이슬람의 율법인 샤리아에 따르면, 율법적인 면에서 매매거래는 4가지로 구분된다.

 

첫 째는 거래 대상이나 절차가 율법적이면서도 합법적인 올바른 거래, 둘째는 거래대상과 절차가 불법적이면서 율법에 어긋나는 무효 거래, 셋째는 거래 대상과 거래 과정 중 하나가 합법적이지만 다른 하나가 율법에 어긋나는 부적절한 거래, 넷째는 거래 대상과 거래방식이 합법적이나 거래 과정에 율법적으로 금지된 내용이 가미된 혐오스런 거래다.

 

가상자산 매매는 이중 거래 자체가 성립될 수 없는 무효 거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상품으로 볼 경우 가상자산은 실체가 확인되지 않는 온라인상에 존재하며 화폐로서의 성격이나 상품으로서의 성격이 모호하고 불확실한 대상으로 가라르(Gharar) 거래의 현대판 모델로도 볼 수 있다.

 

김동환 조교수는 이슬람의 관점에서 가상자산 거래는 책임질 수 없는 것을 팔고 사는 금지된 거래행위다.”라고 표현했다.

 

남은 문제는 가상자산을 화폐로 볼 것이냐 상품으로 볼 것이냐의 견해 차이다.

 

가상자산을 화폐로 간주한다면 생산적 활동 없이도 가치가 증가하므로 리바 알두윤에 해당되어 금지되어야 한다.

 

반면, 일부 긍정주의자들은 외국환 거래와 같다고 주장한다. 화폐를 지급해 다른 화폐를 구입하는 환거래는 이슬람이 허용하는 거래 방식들 중 율법적 해석과 적용이 가장 어렵고 복잡한 거래다.

 

샤리아에서는 다른 상품 거래와 마찬가지로 거래 현장에 거래 대상의 두 통화가 지체 없이 거래되는 것을 기본으로 구매자와 판매자의 구좌에 직접 입금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가상화폐 거래과정이나 절차가 외국환 거래와 외형적인 모습이 이슬람이 허용하는 환거래 규정과 같은 맥락을 유지하는가에 대해선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들. 이슬람 국가(짙은 초록), 이슬람교가 국교인 나라(연두), 세속주의 국가(파랑), 그 외에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인 국가(주황)

 

그래서 이슬람권의 반응은? 각양각색

 

이슬람권 내에서도 부정적인 의견과 긍정적인 의견이 나뉘어지는 입장이다. 다만, 부정적인 입장에서도 점차 율법적 해석과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입장을 변화하는 곳들도 있다.

 

201712월 이집트 금융감독기구(EFSA)의 수장 모하메드 옴란(Mohamed Omran)은 비트코인 거래를 위법으로 규정한다고 밝혔다.

 

이집트 중앙은행 또한 이집트 은행은 공식화폐만을 취급하며 암호화폐는 다루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20188월에 설립된 이집트 거래소 비트코인 이집트(Bitcoin Egypt)에 산업을 허가한 법안이 없다고 못박았지만, 201812월부터 국영 가상자산 발행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거나 20195월에는 가상자산 라이선스 취득 의무화를 추진하는 등 입장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171228일에는 이집트 율법기관(Dar Al-Ifta Al-Misri)의 무프티 샤우키 이브라힘 알람은 파트와(Fatwa)를 내리면서 가상자산을 사회적 병폐로 언급하고 불확실성, 사기성, 모호함과 무지라는 율법적 해석을 선고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금융시장위원회에서 위험을 경고하면서 파트와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9129일에 아랍에미리트 연방 중앙은행(UAECB)과 사우디아라비아 통화청(SAMA)가 공동개발하는 국경은행 송금용 가상자산 아버(Aber)를 시범 적용하기로 발표했다.

 

알제리는 가상자산과 관련해서 파트와가 아닌 현행법에서 가상자산 거래를 금지했다. 금융법 117조 가상화폐의 매매와 유통뿐만 아니라 소유를 금지하며 법률을 위반한 자는 관련 규정에 따라 처벌된다고 규정했다.

 

터키 역시 2017124일 종교성(Diyant)에서 비트코인의 투기성을 근거로 샤리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중앙은행 무라트 세틴카야(Murat Cetinkaya) 총재가 현행 금융법에 비트코인에 적합하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터키는 이후 2019113일에 에르도얀 대통령이 디지털 리라 발행을 지시한 뉴스가 국영매체를 통해 보도됐고 과학 기술 연구위원회(Tubitak)이 참여하고 있고, 20201월에 자본시장 이사회(CMB)가 트랜잭션을 규제하기 위한 가상자산 시장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에 들어갔다.

 

튀니지는 201911월에 튀니지 디나르(TND)를 전자화폐 형태로 발행하기 위해 러시아 스타트업 유니버사(Universa)의 블록체인을 활용한다고 밝히며, 유니버사의 CEO는 가상자산이 아닌 전자형태의 화폐로 강조했다.

 

단일국가로 최대 무슬림 인구수를 차지하는 인도네시아는 중앙은행이 2018113일에 가상자산의 매매와 거래를 금지한다고 밝혔으나 통상부의 선물환감독위원회에서 비트코인을 상품으로 간주해 전자자산(Digital Asset)으로 취급되는지 검토에 들어갔다.

 

또한 201911월에 선물거래 규제 기관인 APPEBTI로부터 라이선스를 취득한 가상자산 거래소 토코크립토(Tokocrypto)가 출범했고, 20202월부터 공식적으로 등록된 가상자산 거래소에 한해 합법적 가상자산 거래를 허용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김동환 조교수는 샤리아는 허용(할랄)과 금기(하람)를 가늠할 때는 대상이 처음부터 끝까지 율법적 기준이 허용되어야 하며, 과정에 일부분이라고 율법적으로 금지한 내용이 존재하거나 발견된다면 해당 행위는 율법적으로 금지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고 여러 장점이 있으나 채굴이라는 노동을 통해 생산되었더라도 거래과정이나 요소들 중에 샤리아 허용 규정에 저촉되는 요인들을 담고 있는 이슬람 샤리아의 관점에서 리바와 가라르의 속성을 지닌 가상자산 거래는 금지되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반응형

댓글()

[보도자료] 크립토 워리어즈, 코나 코인과 파트너십으로 생태계 조성 나선다

IT|2020. 5. 15. 11:11
728x90
반응형

크립토 워리어즈와 코나 코인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사진=크립토워리어즈 제공

 

 

크립토워리어즈(Crypto WarrioZ)가 코나 코인(Cona Coin)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블록체인 기반 3D RPG 게임을 지향하는 크립토 워리어즈가 성장형 모금 시스템 A-IEO의 개발사 코나 코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 내용은 크립토워리어즈와 코나가 A-IEO 시스템을 바탕으로 상호간 가상자산 생태계 구축에 도움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 협력을 골자로 한다.

 

양사는 A-IEO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두 기업의 강점을 결합하고 긴밀한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모두가 충족할만한 서비스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라 밝혔다.

 

크립토 워리어즈는 2019년 연말 오픈 베타를 시작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으로 무기, 캐릭터 코스튬, 아이템 랜덤 박스, 던전, 1:1 채굴 대전의 콘텐츠를 앞세워 게임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정식 오픈을 앞두고 하이콘, 매틱 네트워크, 에이치닥과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국 등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 5000여 명 이상을 확보했고, 매틱 네트워크를 통해 인도 진출을 앞두고 있다.

 

코나 코인은 펀드레이징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Cryptocurrency Offering New Alternative를 표방하고 있다.

 

포블 게이트에서 시행 중인 성장형 모금 시스템 A-IEO의 개발사로 당일 매수량을 수치화 해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고 유통량 조절을 위한 가상자산 소각 구조 등을 시스템화 했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반응형

댓글()

비트왈라, 셀시우스 서비스 통해 비트코인 예금이자 최대 연 4% 지급한다

경제|2020. 5. 15. 02:46
728x90
반응형

사진=비트왈라 블로그 캡쳐

독일 인터넷은행 비트왈라(Bitwala)가 비트코인(Bitcoin)의 예금 이자를 4%로 책정했다.

 

비트왈라는 독일의 인터넷전문은행으로 독일 금융당국에서 은행 면허를 획득한 업체로,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를 도입해 비트코인 예금 서비스를 내놨다.

 

연 최대 4%의 이자를 지급하는 비트코인 계좌 서비스는 랜딩 플랫폼 셀시우스 네트워크(Celcius Network)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최대 4%의 이자 지급을 금융당국의 라이센스를 가지고 수행한다.

 

4%의 이율은 탈중앙화금융은 디파이(De-Fi) 업계에서 높은 이자는 아니지만, 금융당국의 라이센스를 발급받아 금융감독청(BaFin) 및 유럽중앙은행 (European Central Bank, ECB)의 규제를 받는다는 점에서의 차별성을 가진다.

 

8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비트왈라는 독일 은행 솔라리스 뱅크와 파트너십을 통해 은행 면허를 확보해 서비스를 제공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셀시우스 네트워크는 자사의 서비스를 활용해 자산 운용과 이자를 지급할 예정으로, 비트왈라의 BTC 지갑에 보유하게 되면 이자 지급 대상으로 지정되고 매주 월요일마다 주간 이자를 지급받게 된다.

 

벤 존스(Ben Jones) 비트왈라 CEO"비트코인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셀시우스 네트워크와 함께 고객들이 비트코인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비트왈라(Bitwala GmbH)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일의 업체로 201511월에 설립됐다.

 

채팅을 통해 가상자산 전송 기능을 시작해 2016년 비트왈라월렛을 비트고(Bitgo)를 통해서 출시하고 독일 은행 계좌를 통해 뱅킹을 제공한다.

 

금융당국 라이센스를 받아 10만 유로(한화 약 13258만 원)까지 유료 예금이 독일 예금 보증제도(DGS)에 의해 보호받고 독일 금융감독청(Ba Fin)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규제를 받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