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장 기업 유치를 위한 적극적 행보에 나선 싱가포르

국제|2021. 9. 22. 03:13
728x90
반응형

싱가포르 거래소(SGX) / 사진=싱가포르 거래소 페이스북 갈무리

 

고성장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싱가포르 당국이 적극적 행보에 나선다.

 

싱가포르는 현지와 해외 기업들이 싱가포르 거래소(SGX)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아시아의 금융 허브인 싱가포르의 이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정책을 발표했다.

 

57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싱가포르는 개인 투자자가 적어 기업공개(IPO) 자금을 내부에서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부동산 투자신탁에서는 글로벌 금융지로 꼽힌다.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는 정부와 국영투자기관인 테마섹 홀딩스(Temasek Holdings)가 공동 투자 펀드를 조성해 고성장 기업 사모펀드 융자와 IPO에 투자하고 해당 기업의 SGX 상장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동 투자 펀드 시작 규모는 15억 싱가포르 달러(한화 약 13114억 원)로 테마섹이 전액 출자한 신규 투자 플랫폼인 ‘65 에쿼티 파트너스(65 Equity Partners)’가 관리한다.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 산하 투자기관인 EDBI도 상장하기 전 두 번 이상의 자금 조달이 필요한 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형 IPO 펀드(Growth IPO Fund)’를 설립한다.

 

앞서 이달 초 SGX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상장을 허용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해 지난해 미국 SPAC 붐이 시작한 이후 SPAC 상장을 허용한 첫 번째 아시아 거래소가 됐다.

반응형

댓글()

150조원 몰린 기업공개 시장, ‘아직 1분기인데….’

경제|2021. 3. 25. 00:00
728x90
반응형

기업공개(IPO)

 

기업공개(IPO) 시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자본 쏠림도 심해지고 있다.

 

20211분기가 끝나가는 지금, 일반 공모주 청약에 몰린 자금이 2019년 전체 증거금은 이미 초월했고 2020, 1년치의 절반도 넘어섰다.

 

지난 19일까지 리츠와 스펙 상장을 제외하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기업공개 시장에 나온 기업은 모두 24개다.

 

이들은 공모주에 몰린 청약자금은 1499966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에는 968000억 원으로 100조 원이 넘지 않았고 IPO 광풍이라고 일컬어지던 2020년도 2955000억 원의 절반이 1분기 만에 넘어선 것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역대 최대 청약금은 636000억 원의 자금이 모였고 타 종목에 몰린 자금도 90조 원에 육박한다.

 

5조 원 이상 증거금이 몰린 종목은 SK바이오사이언스를 포함해 6개 종목으로 202012종목의 절반에 달한다.

 

증거금이 모인 만큼 경쟁률도 치열했다. 24개 중 14개 종목의 일반 공모주 청약 경쟁률은 1000:1을 넘어섰다.

 

반응형

댓글()

마켓컬리 美 증시 도전 “쿠팡이 한다면 나도 한다.”

경제|2021. 3. 14. 11:47
728x90
반응형

 

마켓컬리(Market Kurly)

쿠팡(Coupang)이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국내 유니콘들이 미국 증시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신선식품 유통시장의 유니콘 기업인 마켓컬리(Market Kurly).

 

지난 2018년 삼승정권을 기업공개(IPO) 주관사로 선정한 마켓컬리는 코스닥(KOSDAQ) 상장을 준비해왔으나 미국 시장도 고려할 수 있는 옵션이 되면서 방향을 선회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미국 증권가 또한 쿠팡의 안정적인 성과에 국내 e-커머스 기업들을 주목하고 있고, 후발주자들을 발굴하고 싶다는 니즈가 발생했다.

 

또한 기업 가치 평가를 높게 받기 어려운 국내 상장 시스템도 한 가지 요인이다.

 

국내 스타트업이나 e-커머스 기업은 투자로 운영되는 여건상 적자 제무재표로는 국내 상장 시장 요건을 맞추기도 어렵고 높은 가치를 평가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쿠팡의 선례를 본 마켓컬 리가 미국 시장을 두드리는 것도 당연한 수순이라는 반응이다.

 

이 외에도 당근마켓, 메쉬코리아 등의 스타트업들이 미국 증권을 두드릴 후보자로 언급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

SK바이오사이언스, 청약 첫 날에만 14조원 몰려

경제|2021. 3. 10. 04:57
728x90
반응형

SK 바이오사시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청약 첫 날에만 148000억 원의 자금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1년 상반기 기업공개(IPO)의 최대 기대주로 손꼽히는 기업으로 6개 주관 증권사에 접수된 일반 공모주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약 831로 집계됐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SK증권, 삼성증권, 하나금융투자다.

 

청약 경쟁률로 산출한 총 청약 증거금(청약 대금의 50%)은 약 148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최대 기대주로 꼽히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9일부터 일반 청약에 돌입한 가운데 청약 첫날 14조원이 몰렸다.

 

이는 2020년 청약 돌풍을 이끈 SK바이오팜의 59000억 원, 빅히트 엔터테이먼트의 86000억 원의 청약 액수를 넘어선 액수다.

 

다만 카카오 게임즈의 164000억 원에는 못 미치는 액수다.

 

일반 공모주 청약은 9일과 10일 이틀간 진행되며, 상장일은 오는 318일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4일과 5일 양일 동안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용예측에선 1000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에 공모가는 희망공모가 범위인 49000~65000원의 최상단인 65000원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일반 배정물량은 전체 2295만 주의 25%573만주다.

 

지난 20187월 설립된 SK바이오사이언스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세포배양 방식의 인플루엔자 백신 스카이셀플루’, 대상포진 백신 스카이조스터등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을 영위 중이다.

 

코로나19 이후 다국적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고 2021년 초에는 미국 워싱턴 대학과 컨소시엄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인 ‘GBP510'의 임상에도 들어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SK케미칼의 백신사업부문을 분할해 신설했다. 신설회사의 발행주식을 모두 배정받는 단순물적분할방식으로 SK케미칼의 100% 자회사로 분할됐다.

 

분할하면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사업에 집중할 것을 선언했고, 외부 투자유치에 용이한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분주했다.

 

경북 안동에 백신공장 ‘L HOUSE'를 설립하고 세포배양, 세균배양, 유전자재조합, 단백접합 백신 등 기반기술 및 생산설비를 보유해 국내에서 개발 가능한 백신들의 생산이 가능한 시설을 갖췄다.

 

반응형

댓글()

카카오뱅크 IPO 주관사에 KB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 선정

경제|2020. 12. 21. 04:03
728x90
반응형

 

카카오뱅크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Kakaobank)가 기업공개(IPO) 주관사로 KB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CS)를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 공동 주관사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 증권이 선정됐다.

 

지난 11월 카카오뱅크는 기업공개를 위해 증권사들에게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냈고, 숏리스트엔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KB증권 등의 증권사들이 입찰 경쟁을 벌였다.

 

11월부터 단행된 유상증자(구주주 대상, 3자 배정)에서 정해진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은 93000억 원이지만, 증권가에서는 카카오뱅크의 몸값을 약 2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기업공개에서 KB증권이 주관사로 선정되고 한국투자증권이 탈락한 것에는 주주 관계의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인다.

 

KB증권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이 카카오뱅크의 지분 9%를 보유한 주요 주주로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지만, 카카오뱅크의 주주인 한국투자증권은 상장 주관사 선정에는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됐다는 것이 업계의 평이다.

 

KB증권을 상장주관사로 선정하면서 카카오는 카카오페이(Kakaopay)의 기업공개 상장 주관사를 변경했다.

 

기존의 카카오페이 상장 주관사는 KB증권과 삼성증권이지만, KB증권이 카카오뱅크의 상장 주관사가 되면서 카카오페이의 대표 상장 주관사를 삼성증권으로 변경했다.

 

카카오페이 역시 2021년에 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923일 이사회를 열고 지속적 성장을 위한 자본 확충 수단을 위해 기업 공개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의결했다. 내년 본격적인 상장 작업에 돌입, 하반기께 상장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댓글()

위기의 미국 위워크, 임대료도 최대 50%까지 할인

국제|2020. 10. 22. 01:00
728x90
반응형

위워크

 

공유 오피스 기업 위워크가 임대료를 최대 50%까지 인하한다.

 

미국 위워크는 기존 임차계약 갱신에 따라 임대료를 할인해주는 임대 정책을 도입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위워크에 입주한 기업들이 재택근무로 전환하면서 위워크와의 사무실 재계약이 성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위워크는 IPO 상장 실패에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매출이 20% 하락했고 임차인들 중 12%가 이탈했다.

 

기존 입주자들이 입주 공간보다 더우 소규모 공간으로의 사무실 이전을 요구하거나 재계약을 하지 않는 경우가 폭증하면서 위워크의 위기는 가속화됐다.

 

이에 위워크는 건물주에게 장기 임대료 인하를 호소하고 사무실 임대료 조정을 부동산 기업인 나이트프랭크가 진행 중이다.

 

IPO의 경우 20191월 에 470억 달러(한화 약 532087억 원)로 인정받던 기업 가치가 1년만에 IPO 무산으로 29억 달러(한화 약 32830억 원)으로 하락했다.

반응형

댓글()

LG화학 배터리 부문 분사 의결“매출 30조원의 에너지 솔루션 기업 만들겠다”

산업|2020. 9. 18. 05:42
728x90
반응형

LG화학 홈페이지

 

전기차 배터리 사업 글로벌 1위인 LG화학이 배터리 부문 분사를 의결했다.

 

지난 17일 이사회에서 LG화학은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터리 사업부문의 회사분할안을 결의했다.

 

분사는 1030일 개최될 임시주주총회의 승인을 받게 되면 121일부터 배터리 사업을 전담하는 신설법인인 ‘LG에너지솔루션’(가칭)이 출범하게 된다.

 

분할된 신설법인은 LG화학이 발행주식총수를 보유하는 물적 분할 방식으로 LG화학이 비상장 신설법인 지분 100%를 보유하게 된다.

 

물적분할을 택한 것은 신설법인의 성장에 따른 기업가치 증대가 모회사의 기업가치에도 긍정적이고 R&D 협력을 비롯해 양극재 등의 전지 재료 사업과의 연관성 등 양 사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장점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 분사에 대해 LG화학은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구조적 이익 창출이 본격화되는 현재 시점을 분할의 적기라고 판단하고 있다.

 

LG화학은 20202분기 들어 글로벌 배터리 사업 부문에 1위를 차지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분할에 따라 전문 사업 분야도 집중할 수 있고 경영 효율성도 증대하고 대규모 투자자금 확보를 위한 기반 마련과 부문별 독립적인 재무구조 체계를 확립해 재무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목표다.

 

LG화학은 신설법인을 2024년 매출 30조 원 이상을 달성하고, 배터리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최고의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신설법인의 올해 예상 매출액은 약 13조 원 수준이다.

 

LG화학은 분사하는 신설 법인을 배터리 소재, , 팩 제조 및 판매뿐만 아니라 배터리 케어, 리스, 충전, 재사용 등 배터리 생애(Lifetime) 전반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E-Platform 분야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세계 최고의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육성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석유화학첨단소재바이오 부문에서도 적기에 필요한 투자를 집중하여 배터리 사업과 함께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춘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신설법인의 IPO(기업공개)에 대해서는 현재 구체적으로 확정된 부분은 없으나, 추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며 전기차 수요 확대에 따른 시설투자 자금은 사업 활동에서 창출되는 현금을 활용하고, LG화학이 100% 지분을 가지고 있어 필요할 경우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신설법인이 상장하게 된다면 뉴딜지수에서 제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분사 소식을 들은 주식시장에서는 분사에 대해 '매수 기회'라는 의견과 '뒤통수를 맞았다'라는 의견으로 갈렸다.

 

결국 LG화학은 시총 5.7조원이 빠지면서 투자자들의 분노를 온몸으로 받아야 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