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C랩 인사이드'로 5개 스타트업 독립 지원 나선다

산업|2020. 5. 22. 02:17
728x90
반응형

출처=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C랩 인사이드5개 우수 과제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한다.

 

201212월부터 도입한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는 삼성전자가 창의적 조직 문화를 확산과 임직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을 위해 만들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년부터 C랩 스핀오프 제도를 도입해 우수한 C랩 인사이드 과제들이 스타트업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다.

 

이번에 창업에 나선 스타트업은, CG 영상 콘텐츠를 쉽게 제작하는 블록버스터, 종이 위 글자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하일러, AI 기반 오답 관리와 추천 문제를 제공하는 학스비, 인공햇빛을 생성하는 창문형 조명 써니파이브, 자외선 노출량 측정이 가능한 초소형 센서 루트센서다.

 

이 중에서 하일러’, ‘써니파이브’, ‘루트센서2020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전자전시회인‘CES 2020’에 참가해 소비자들의 피드백을 받았고, 이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였다.

 

지난 20158월 처음 도입한 C랩 스핀오프(Spin-off) 제도는 창업자들에게 초기 사업자금과 창업지원금을 제공하고 희망 시 스핀오프 후 5년 내 재입사 기회를 부여해 스타트업의 재도전 기회를 부여해 삼성인들이 창업을 시도하는 문화를 확산하는 전략을 실행 중이다.

 

그 결과, 2020년까지 163명이 창업해 45개의 스타트업을 설립했고 스핀오프 이후 유치한 투자금도 550억 원에 육박한다.

 

지난 421일부터 글로벌 최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킥스타터에서 펀딩을 시작해 현재까지 약 72천 달러 모금에 성공하는 등의 성과를 보였다.

 

전체 기업 가치도 스핀오프 당시 보다 3배 이상 증가해 경쟁력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5년간 C랩을 통해 사내 임직원 스타트업 과제(C랩 인사이드) 200, 외부 스타트업 육성(C랩 아웃사이드) 300개 등 총 500개의 사내외 스타트업 과제 육성을 발표한 바 있다.

 

삼성전자 창의개발센터 한인국 상무는 지속적인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스타트업과 삼성전자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협력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NC 소프트, 'NC 펠로우십 2020' 으로 인공지능 인재 육성 나선다.

IT|2020. 5. 22. 02:08
728x90
반응형

NC소프트

 

 

NCAI 인재 육성 프로그램 2020 NC 펠로우십을 진행한다.

 

온라인 게임 리니지의 개발사인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 이하 NC)가 인공지능 인재 육성 프로그램인 2020 NC 펠로우십(Fellowship)을 진행한다.

 

NC는 지난 2011년부터 AI 연구개발을 시작해, 현재 약 150명 이상의 전문 연구인력이 근무 중이다. 현재 AI 센터와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처리) 센터 산하에 5개 연구소(Lab)를 운영 중이다.

 

NC 펠로우십은 국내 주요 대학의 인공지능, 전산 관련 동아리가 참여해 교육을 받고 과제수행을 통해 AI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인공지능 인재 육성 프로그램이다.

 

1년동안 NCAI 전문연구원들과 과제를 수행하는 NC 펠로우십은 2018년부터 처음 진행해 2020년 기준으로 3회를 맞이했다.

 

3NC 펠로우십에는 국내 8개 대학의 동아리에서 16개 팀이 참여하고, 설명회를 시작으로 방학 시기를 거쳐 사전과제, 온라인 교육, AI 개발 과제를 진행한다.

 

참가자들은 딥러닝을 포함한 최신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미니게임 AI를 개발하는 과제를 부여받고 전략 RTS 게임 AI 개발훈련을 목표로 교육을 받는다.

 

최종 경과물을 발표하고 게임 AI 리그 대결을 통해 순위를 결정하는 리그를 열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1위 팀과 2위팀에는 100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지고, 우수 참가자는 NC AI 센터에서 인턴십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

 

NC AI센터 게임AI(Lab) 이경종 실장은 “NC 펠로우십은 AI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경험해 AI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며, “참가자들이 직접 게임 AI를 개발하는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시작을 함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전자서명제도 20여년 만에 개편, 다양한 신기술 전자서명 활성화 기반 조성

정부시책|2020. 5. 22. 01:40
728x90
반응형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전자서명법 전부개정안이 임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가 공인전자서명 법적 효력에 대한 개정안이 포함된 전자서명법 전부개정안이 제 378회 임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전저사명의 시장경쟁이 촉진되어 다양한 신기술을 이용한 전자서명의 개발 이용이 활성화되고 국민의 전자서명 이용 편리성도 높아질 예정이다.

 

1999년 제정된 전자서명법은 공인인증제도를 도입해 인터넷을 통한 행정, 금융, 상거래 등을 활성화는 성과를 이뤄냈지만 20년 넘게 유지된 공인인증제도는 시대적 흐름을 쫓아가지 못해 전자서명시장을 독점하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했다.

 

신기술 전자서명기업의 시장진입기회를 박탈하고 엑티브엑스를 통한 불편을 초래하는 등,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과기정통부는 공인인증제도 개선정책을 발표하고, 시민단체와 법률전문가, 인증기관 등이 참여해 검토회의 등을 거친 전자서명법 전부개정안을 마련해 제출했다.

 

개정안에는 공인전자서명에 대한 내용 외에도 전자서명 수단 간의 경쟁 활성화, 전자서명 인증업무 평가 및 인정제도 도입, 전자사명 이용자에 대한 보호조치 강화 등이 포함됐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기존 공인인증서가 독점한 시장이 다양한 신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전자서명 서비스 개발이 활발해질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신기술중소기업 전자서명 서비스의 신뢰성 입증, 시장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전자서명인증업무 평가인정제도도 도입된다.

 

국제통용 평가기준에 맞춘 신기술 전자서명 평가인정제도 마련으로 우리나라에 국한된 전자서명이 아닌 국제시장을 선도하는 전자서명 기술 개발이용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인인증제도가 폐지돼도 기존 인증서는 유효기간까지 사용 가능하고, 그 이후 이용기관 및 및 이용자 선택에 따라 일반 전자서명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번 개정으로 신기술 전자서명이 활성화되고, 국민들께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 이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서비스의 핵심인 인증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며, “법 시행 전까지 시행령 등 하위법령 개정에 만전을 기하고 제도 변화에 따른 국민 혼란이 없도록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규제자유특구 운영평가한 중기부, “7개 규제자유특구 모두 정상 추진 중” 경북, 부산은 우수

정부시책|2020. 5. 21. 18:40
728x90
반응형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7개 규제자유특구의 1년간 운영성과를 평가하고 정상 추진 중이라고 발표했다.

 

중기부가 201971일 지정된 7개 규제자유특구를 대상으로 1년간 운영 성과를 평가했다.

 

특구 운영성과 평가는 지역특구법 제 83(규제자유특구의 운영에 대한 평가)에 따라 매년 지정된 특구에 대해 지역경제 활성화, 규제특례 활용실적 등 운영성과를 평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번 중기부 평가는 특구 지정 후 첫 번째 평가다.

 

민간전문가 7명을 평가위원으로 구성해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노력했고 이틀간 서면 및 대면평가를 진행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행정적 노력도에 중점을 두고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결과 블록체인 특구인 부산과 차세대 배터리 특구인 경북이 우수를 받았고 충북, 강원, 세종, 전남, 대구의 5개 특구는 보통 판정을 받았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부산특구는 전문인력과 신규사업 발굴로 우수 평가를 받았으며, 블록체인 전문대학원을 설립하는 등 사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경북 차세대배터리사이클링 특구는 짧은 기간동안 GS건설의 1000억 원 투자와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측면 등을 고려해 우수로 평가했다.

 

세종 자율자동차 특구는 실리콘밸리의 자율차 기업이 특구사업에 참여하고 라온시큐어가 옴니원을 바탕으로 특구사업을 수주하는 등 기업유치에 성과를 보이고 있다.

 

1차 특구에 대한 총평은 투자유치 1330억 원, 2개 공장준공, 58개 기업이전 등의 성과가 나타났고 2021년에는 2차로 지정된 7개 특구를 포함한 14개 특구를 대상으로 특구의 정책목표, 특구 내 창업 및 이전 기업, 투자 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 및 파급효과에 주안점을 둔 운영성과를 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지속적인 현장 점검을 통해 성과가 미흡한 특구는 재정지원 사업비 삭감 및 지정 해제 등 철저한 사후관리를 추진한다는 입장과 성과가 우수한 특구는 추가 재정지원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을 밝혔다.

 

김희천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은 수소, 에너지, 자율주행, 무인선박 등 특구사업의 안전성을 담보하면서, 2년의 짧은 실증기간 내에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현장점검을 통한 사후관리를 철저히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마지막 LOL 프렌차이즈 리그 LCK, 25개 국내외 기업에서 투자 의향서 제출

산업|2020. 5. 21. 16:24
728x90
반응형

라이엇 게임즈는 2021 LCK 프렌차이즈 리그 참여를 받고 있다.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리그 코리아(LCK)의 프렌차이즈 리그 투자 의향서를 25개 팀이 제출했다.

 

AOS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개발과 유통을 맡은 라이엇 게임즈는 국내외 25개 팀이 프렌차이즈 리그 투자 의향서(LOI)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2021 LCK 리그 참가 지원서류는 619일까지 지원받고 22일부터 서류 심사에 들어가게 된다.

 

LCK는 전세계에서 하루 평균 약 463만 명의 순 시청자가 지켜보는 e스포츠 리그로 하루 평균 최고 동시 시청자는 약 82만여 명을 기록징이며, 이 중 약 62%가 해외 시청자다.

 

글로벌 프리미엄 스포츠 콘텐츠인 LCK는 라이엇 게임즈는 주요 LoL e스포츠 리그 중 마지막 남은 프랜차이즈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내외 팀들이 투자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LCK 소속 10개 팀과 챌린저스 소속 8개 팀이 모두 의향서를 제출했고 프로스포츠 구단 산하 e스포츠 팀도 투자 의사를 밝혀왔다.

 

NBA 선수 샤킬 오닐과 MLB의 알렉스 로드리게스, 할리우드 제니퍼 로페즈 등이 투자자로 참여한 NRG e스포츠도 투자 의사를 밝혔다.

 

NFL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파트너십을 맺은 피츠버그 나이츠FPS e스포츠팀 ‘FaZe Clan’ LCK 프렌차이즈 리그 참가 의사를 내비쳤다.

 

e스포츠 컨설팅 그룹인 월드 게임 스타(World Game Star)와 국내 MCN 기업 트레저헌터도 참가 의사를 밝혀 LCK 리그 입성에 국내외의 다양한 기업들이 도전장을 내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다.

반응형

댓글()

다날, '다모음'으로 다날 결제 수단 다 모은다

산업|2020. 5. 21. 11:39
728x90
반응형

다날이 간편결제 통합 플랫폼 다모음을 런칭했다.

 

글로벌 휴대폰 결제 기업 다날이 간편결제 통합 플랫폼 다모음을 런칭했다.

 

다모음은 구글 플레이 금융 카테고리에서 누적 다운로드 10만을 돌파하며, 이용자 수를 급속히 확보하는 중이다.

 

다모음에는 가상자산인 페이코인(PCI) 결제와, 선불전자지급수단인 달코인의 결제가 포함됐고, 다날의 결제 수단을 점진적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페이백 서비스도 포함됐다. 다모음 앱으로 결제하면 결제액의 0.5%를 달코인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고, 달코인은 다날의 온라인 가맹점과 페이코인으로 전환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달코인은 이름은 코인이지만 1코인이 1원과 대비되어 사실상 카카오머니와 같은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기존 카드사의 포인트 페이백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박지만 다날 결제사업본부장은 그 동안 휴대폰 결제를 할 때마다 번거로웠던 본인확인 인증 절차를 다모음 앱에서 한번에 해결함과 동시에 포인트 적립과 결제내역 확인까지 가능해졌다휴대폰 및 페이코인 결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추가 사용자 확보를 위해 쇼핑, 리워드, 쿠폰 등의 부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모음은 론칭을 기념해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2천 포인트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반응형

댓글()

디지털 자산 결제 첫 상품, ‘전자기기와 생활용품’이 많은 걸로 조사돼

경제|2020. 5. 21. 11:23
728x90
반응형

도브 월렛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첫 결제 상품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도브 월렛(Dove Wallet, 대표 김은태)이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전세계 이용자 54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자산으로 가장 처음 결제한 상품이라는 주제로 설문조사에서 31%에 해당하는 1668명이 전자기기나 생활용품을 첫 결제 경험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15%는 게임 아이템과 온라인 구독 등 디지털 콘텐츠라고 응답했고, 기부와 팁이 11%, 식음료가 9%를 기록했다.

 

설문 조사를 통해서 전자결제지불수단으로서 디지털 자산으로 실제 구매를 해본 경험자들이 확장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설문조사에 한계점도 있다. 설문조사에 사용된 질문인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이라는 개념이다.

 

암호화폐로 대표되는 가상 자산(Virtual Asset)은 디지털 자산의 한 범주로 질문에서 묻는 대상에 대해 차이가 있다.

 

디지털 자산 경험에 항공사 마일리지, 카드사 포인트, 온라인 플랫폼 페이백 포인트가 포함되고 이들은 실제 제품 구매는 실생활에 정착된 전자결제수단이기 때문에, 단순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질문은 가상 자산에 대한 상품 결제 경험과 차이가 발생하 수 있다.

 

도브 월렛 김은태 대표는 낮은 편의성 등 결제 수단으로써 디지털자산이 넘어야 할 숙제는 여전히 많다. 하지만 현재 전세계적으로 낙후된 통화시스템, 금융인프라의 문제점을 보완해줄 대안으로, 여러 국가기관 그리고 세계적 기업 주도의 디지털자산 활용에 대한 구체적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는 만큼 디지털자산 기반의 결제환경 역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 가상자산 투자 주저의 요인

경제|2020. 5. 21. 04:19
728x90
반응형

도브 월렛이 이용자들에게 디지털자산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큰 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가상자산에 대해 일반 투자자들의 허들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이 1위로 뽑혔다.

 

차일들리가 운영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도브 월렛(Dove Wallet)이 이용자 4622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큰 요인을 묻는 질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위는 46%가 응답한 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고, 2위는 18%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 구매시 요구하는 인증 절차였다.

 

이 외에도 규제와 법령, 과세정책의 불확실성 10%, 높은 변동성 8%, 해킹 등의 보안사고 9%가 장애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교육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거래소나 지갑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한 프로세스와 회원인증 절차에 대한 요구도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브 월렛 김은태 대표는 최근의 특금법 통과 및 과세 본격화 움직임 등 디지털자산에 대한 합법적 테두리가 빠르게 마련되고 있는 만큼, 이젠 다수의 이용자들이 보다 손쉽게 접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업계차원의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비둘기 지갑이 전세계 이용자 4,622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6%디지털자산에 대한 이해 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선택했다. 또한 18%의 응답자는 디지털자산을 구매할 시 요구되는 복잡한 인증절차가 보유를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도 각종 규제나 법령, 과세정책의 불확실성, 높은 변동성, 해킹 등의 보안사고 등을 디지털자산 보유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으로 꼽은 이용자도 각 10%, 8%, 9%를 기록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