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대 항공사, 국내선 변경 수수료 폐지로 ‘출혈경쟁’ 예고해

국제|2020. 9. 6. 03:46
728x90
반응형

미국 3대 항공사

 

미국 3대 항공사들이 국내선 변경 수수료를 폐지하면서 출혈경쟁을 예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United Airline)이 처음으로 국내선 변경 수수료를 폐지한데 이어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과 델타 항공(Delta Air)도 국내 변경수수료 폐지에 동참했다.

 

아메리칸 항공은 국내 항공에 적용한데 이어 국제 항공 수요의 회복이 될 경우 장거리 노선에 대한 수수료 변경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미국 국내선을 비롯해 캐나다, 멕시코, 캐러비안을 오가는 국제선을 대상으로도 항공료를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좌석 변경이나 환불이 불가한 이코노미석에 업그레이드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저가항공사(LCC)인 사우스웨스트항공이나 스피릿에어라인 등과의 경쟁도 불사할 수 있음을 암시했다.

 

취소변경 수수료가 포함되는 부대 수수료는 미국 항공사 수익에서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델타 항공은 2019년 기준 83000만 달러(한화 약 9800억 원)의 취소변경 수익을 벌었고, 아메리칸 항공은 81800만 달러(한화 약 9700억 원)의 수익을 벌었다.

 

미국 항공사 전체는 28억 달러(한화 약 33000억 원)의 취소변경 수익을 벌었다.

 

미국 3대 항공사의 이러한 행보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항공 수요의 감소와 시장 전망이 지속적으로 정상화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에 나온 궁여지책으로 보인다.

 

대형 항공사들은 고용 유지를 조건으로 한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이 끝나는 10월을 앞두고 대규모 감원 계획을 연이어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유나이티드항공이 정부의 추가 지원이 없으면 몇개월 안에 인력의 절반인 36000명을, 아메리칸항공은 19000명을 감원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마스터카드, 미얀마 양곤에 사무소 개소 "디지털 송금 환경 구축할 것"

국제|2020. 9. 6. 03:36
728x90
반응형

마스터카드

 

글로벌 신용카드 회사 마스터카드(Mastercard)가 미얀마에 지사를 개설한다.

 

미얀마 전문 미디어 에드 소파르(AD SHOFAR)에 따르면, 비자(VISA)와 함께 글로벌 카드시장을 양분하는 마스터카드가 미얀마 양곤에 사무소를 개설한다고 발표했다.

 

사무소 개소는 미얀마의 디지털 결제 생태계와 현금없는 사회 구축을 목표로 한다고 마스터카드 측은 밝혔다.

 

미얀마는 GDP 성장률 6%를 기록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로 디지털 경제 구축의 인프라 요소를 잘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미얀마의 은행 계좌는 전체 인구의 ¼수준임에도 80%가 스마트폰을 통해 디지털 송금을 사용하고 있다.

 

마스터카드는 미얀마 정부와 10년간 디지털 결제 환성을 조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그 첫단계로 미얀마 현재 은행인 CB 뱅크와 마스터카드 발급 및 승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영세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포털 사이트를 구축해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고 MAB, 요마 뱅크와도 카드 발급 및 디지털 환경 최적화 작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응형

댓글()

미국 퇴출위기 위챗, 기업용 위챗 영문 명칭 ‘위컴’으로 변경

국제|2020. 8. 27. 14:15
728x90
반응형

사진=구글 플레이 스토어 캡쳐

기업용 위챗(WeChat)의 영문 명칭이 위컴(WeCom)’으로 변경됐다.

 

모바일 메신저 위챗을 운영하는 텐센트(Tencent)가 기업용 위챗의 영문 명칭을 변경했다.

 

기존에 기업용 위챗 명칭은 위챗 워크(WeChat Work)’ 였으나 이를 위컴(WeCom)으로 변경한 것.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 스토어의 기업용 위챗 명칭 변경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설명도 위챗 팀에서 개발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오피스 협업 툴로 위챗과 같은 친숙한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제공한다고 나와있다.

 

텐센트는 명칭 변경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상황을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특히, 틱톡(Tiktok)이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매각 협상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현 상황을 타계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게 지배적이다.

반응형

댓글()

DGB대구은행, 2번째 해외 지점인 호치민 지점 개점

국제|2020. 8. 19. 03:18
728x90
반응형

 

 

사진=DGB대구은행 제공

 

대구은행이 베트남 호치민에 지점을 개점했다.

 

지난 18DGB대구은행이 베트남 호치민에 호치민 지점을 개점하고 영업을 개시했다.

 

호치민 지점은 2012년 상해지점에 이은 2번째 DGB대구은행의 국외 점포다.

 

DGB대구은행은 2014년부터 호치민 사무소를 운영해왔고, 2020년에 지점 설립 승인을 받았다.

 

호치민 1군 엠플라자(Mplaza) 11층에 위치한 DGB 대구은행 호치민 지점은 지점장과 국내 직원 2, 베트남 현지 직원 11명으로 구성됐다.

 

최재호 초대 DGB 호치민지점장은 "기업여신을 중심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물론, 향후 베트남 현지 기업 금융지원도 적극 추진해 현지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사진=DGB대구은행 제공

 

현재 DGB금융그룹은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에 진출해 있는 상황에서 DGB대구은행의 호치민 지점 개설은 동남아시아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태오 은행장은 "인도차이나 반도의 맹주이자 포스트 차이나로 불리는 베트남 진출이 DGB금융그룹의 해외사업 확대에 소중한 자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

미국 제재로 기린칩 생산 중단에 놓인 화웨이, 9조원 계약의 행방은?

국제|2020. 8. 18. 01:42
728x90
반응형

화웨이 기린칩 990 / 사진=화웨이

 

화웨이가 재고 소진으로 기린(麒麟) 칩 생산을 중단하면서 향후 반도체 계약의 행방에 귀추가 주목된다.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인 TSMC에서 제조해온 기린칩이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지난 515일 이후 신규 생산주문이 멈추면서 생산이 중단됐다.

 

TSMC2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미국의 화웨이 제재로 515일 이후 화웨이의 신규 주문을 받지 않았으며 화웨이 제재 변화가 없을 시 914일 이후 화웨이와의 거래가 완전히 단절된다.

 

화웨이는 2020년 가을에 출시 예정인 메이트 40(Mate 40)이 기린 9000 칩을 탑재한 마지막 스마트 폰이 될 것임을 예고하며 915일 이후 기린칩 시리즈가 생산이 중단된다고 알렸다.

 

화웨이 위청둥 CEO“2019년에 미국의 제재로 스마트폰 6000만 대를 덜 출하했고 2020년에도 스마트폰 출하량이 2019년의 24000만 대보다 적을 것이라며 중국 반도체 산업이 기린칩을 생산할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화웨이의 휴대전화 제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반도체 칩 조달이 필요하며, 이는 큰 규모의 계약을 의미하며 해당 수요를 소화할 수 있는 기업은 한국의 삼성전자와 대만의 미디어텍이 후보로 꼽힌다.

 

한편, 미국의 퀄컴은 화웨이의 신규 주문이 경쟁사에 빼앗길 우려가 있다며 제재를 풀어줄 것을 미국 정부에 요청하면서 로비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응형

댓글()

DGB캐피탈, 미얀마에 할부금융업 본인가 신청, "인도차이나 3국 공략 시너지 기대"

국제|2020. 8. 17. 17:10
728x90
반응형

사진=DGB 금융지주 유튜브 캡쳐

 

DGB캐피탈이 미얀마 할부금융업 본인가를 2020년 말까지 신청할 계획이다.

 

DGB캐피탈이 지난 5월 미얀마에 사무소를 설립한데 이어 할부금융업 인가를 신청할 방침이다. 이로서 DGB금융지주는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에 거점을 가지게 됐다.

 

미얀마 할부금융업(NBFI, Non Bank financial Institution) 라이선스는 할부금융업으로 소액대출업(MFI)과는 다르게 주택과 자동차 등으로 담보대출이 가능한 금융업이다.

 

미얀마 정부는 외국계 금융사에 소액대출법인(MFI, Micro Finance Instituin)에 더해 캐피탈 서립도 가능하도록 2019년에 규제 완화를 추진했고 할부금융업 역시 선별적으로 라이선스를 발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미얀마는 해외 법인이 진출할 시 사무소를 설립 후 6개월이 지나면 NBFI 영업을 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심의한다.

 

DGB금융지주는 201911월에 대구은행이 DGB마이크로파이낸스 미얀마(DGB Microfinance Myanmar)라는 MFI법인을 설립해 진출했고 DGB캐피탈이 5월에 대표사무소를 설립했다.

 

이로써, DGB금융지주는 미얀마에 진출한 대구은행 MFI 법인과 시너지는 물론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3개국에 사업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에 나서게 됐다.

 

DGB금융지주는 201612월에 라오스 현지법인 DGB라외싱(DLCC, DGB Lao Leasing Co., Ltd)를 라오스의 LVMC 그룹과 합작해 설립했고, DGB캐피탈이 90%, LVMC1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에서는 프놈펜에 소액 담보대출 중심의 사업을 하던 현지법인을 20197월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해 행정절차를 마무리한 뒤 20201월 인수해 캠 캐피탈(Cam Capital Plc)을 출범시켰다.

 

또한 2018년 편입된 대구은행 자회사 DGB SB는 현지인 법인장인 로스 티어릿(ROs Thearith)을 앞세워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

특허청 디자인신속등록제도로 캄보디아에서 디자인권 신속 출원 가능해진다.

국제|2020. 8. 14. 19:45
728x90
반응형

특허청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의 디자인신속등록제를 시행한다.

 

특허청(청장 박원주)은 캄보디아 산업과학기술혁신부(장관 키티 세타하 판다타 샴 프라시드)MoU를 맺고 한국인이 캄보디아에서 디자인권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디자인신속등록제도(Fast Registration for industrial Designs)812일부터 시행한다.

 

디자인신속등록제도는 한국인이라면 캄보디아에 디자인을 출원한 후 신청서를 제출해 3주안에 디자인 등록을 할 수 있는 제도다.

 

한국에서도 동일한 디자인을 출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통상 3~6개월이 소요되는 캄보디아 디자인 등록기간이 이 제도를 통해 3주로 줄어들어 캄보디아에서 조기 권리 확보가 가능해졌다.

 

특허청의 MoU 체결은 상품의 가능성과 함께 디자인을 점차 강조하는 산업 트렌드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특허청은 이미 지난해 8월 캄보디아 산업과학기술혁신부와 특허인정협력 MOU를 체결하고, 한국에서 등록된 특허와 동일한 캄보디아 출원에 대해서는 별도 심사 없이 6개월 내에 등록을 인정하는 특허인정 제도를 시행 중에 있다.

 

디자인신속등록제도는 이러한 특허인정제도의 효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애플이 스마트폰에 대해 다수의 특허권과 디자인권을 보유하고 있듯이, 캄보디아에서 자사 제품을 특허와 디자인의 2가지 권리로 모두 보호받기 원하는 우리기업이 본 제도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이 제도는 특허인정제도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캄보디아 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에게 2중의 보호막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라고 하면서, “앞으로 이러한 제도 시행국가를 확대하는 동시에 더 많은 해외 진출 기업들이 이러한 제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반응형

댓글()

중국 4대 은행, ‘디지털 위안화’ 비공개 테스트 진행 중 '당비와 노조비 지불 테스트'

국제|2020. 8. 14. 15:43
728x90
반응형

 

중국 4대 은행이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테스트하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아이뉴스에 따르면, 중 무역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국영 4대 은행인 중국은행, 공상은행, 농업은행, 건설은행이 디지털 위안화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비공개로 테스트 중이다.

 

디지털 위안화의 정식 발행 준비를 위해 선전(深圳) 등의 지역에서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을 테스트 하는 중이라고 국영 은행 관계자는 밝혔다.

 

현재 어플리케이션은 공개적으로 사용할 순 없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진 않았다고 전했다.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사용하기 위해선 4대 은행에 전자 지갑을 개설하고 각 은행에 개설된 계좌를 연동해 자금을 충전해 사용이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에는 충전, 현금 인출, 계좌이체, 결제의 기능이 추가되고 계좌이체는 전화번호로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결제 방식도 위챗페이와 알리페이의 QR 코드 스캔을 포함될 예정이다.

 

충전은 인터넷 뱅킹과 은행카드 연동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관계자는 비공개 테스트로 기관에서 공산당 당비와 노조비 납부 등의 테스트를 통해 실제 사용성을 확인 중이며, 비공개 테스트인 만큼 오프라인 소비 환경이 현재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도 전했다.

 

중국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를 적극적으로 테스트 중인 국가다.

반응형

댓글()